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증가속도 가팔라고령화로 의료비·연금 복지지출 증가할듯전문가 "국가채무비율 40%대가 안정적"
-
한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증가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주장이 제기됐다.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IMF 세계전망자료는 한국의 국가채무비율이 오는 2025년 64.9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지난 2015년(40.78%)에 비해 2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분류상 선진국 37개국 가운데 9번째로 큰 증가폭이다.IMF 국가채무비율은 일반정부 부채(D2)를 기준으로 한 수치다. 국가별로 2018∼2020년까지는 실제 집계 수치고 2021년 이후는 전망치다.자료에 따르면 2015년 40.78%였던 한국의 국가채무비율은 2019년 41.92%, 2020년 48.41%, 2021년 52.24%, 2022년 55.80%, 2023년 59.25%, 2024년 62.27%, 2025년 64.96% 등으로 상승할 전망이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확장재정이 불가피한 2020년과 2021년 특히 국가채무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다. 2019년 대비 2021년 증가 폭은 10.32%포인트다.같은 기간 뉴질랜드(28.68%포인트), 캐나다(26.35%포인트), 영국(26.17%포인트), 일본(26.01%포인트), 미국(24.96%포인트), 프랑스(20.45%포인트), 독일(12.75%포인트) 등 다른 선진국의 국가채무비율 증가 폭은 더 크다.2015년부터 2025년까지 10년간으로 비교할 때 한국 국가채무비율 증가 폭은 24.18%포인트로 37개 선진국 중 9위를 차지한다.같은 기간 다른 선진국 국가채무비율 증가 폭을 살펴보면 산마리노가 61.82%포인트로 가장 크고 싱가포르(34.82%포인트)가 뒤를 잇는다.이외 호주(33.20%포인트), 일본(32.65%포인트), 뉴질랜드(32.59%포인트), 미국(32.25%포인트), 영국(30.05%포인트), 프랑스(27.73%포인트)가 한국보다 국가채무비율 증가 폭이 크다.반면 스페인(19.51%포인트)이나 이탈리아(17.29%포인트), 캐나다(15.05%포인트) 등은 국가채무비율 증가 폭이 한국보다 작다.네덜란드(-8.25%포인트), 독일(-12.66%포인트), 포르투갈(-15.28%포인트) 등은 오히려 국가채무비율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코로나19 기간 동안에는 국가채무비율을 일시적으로 늘렸더라도 2022년 이후 국가채무를 줄이고 재정 건전화를 추진하기 때문이다.한국은 2025년까지 전망치를 보더라도 국가채무비율 증가 속도가 선진국 중 빠른 편이다.그 이후에도 저출산과 고령화 진전 등을 이유로 국가채무비율을 줄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염명배 충남대 교수는 "국가채무 증가 방아쇠를 한번 당기면 멈추기가 쉽지 않다"며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굉장히 빨라 의료비와 연금 등 복지지출이 더 많이 늘어날 수 있어 국가채무비율을 40%대에 묶어놔야 제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