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부터 톤당 7만5000원, 현장에서 6만8000원 선 거래건설경기 반등 전망에 탈탄소 비용 가중… "올해는 올려야"레미콘 업계 반발 "일선은 아직 출혈 경쟁 중, 인상 일러"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7년째 동결된 시멘트 값이 올해는 오를 전망이다. 정부의 특단 부동산 공급대책으로 건설경기가 조금씩 살아나는 데다, 탈탄소 정책에 따른 원가 상승으로 가격 인상 요인이 늘어난 탓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시멘트 가격은 1톤당 7만5000원으로 고시돼 있다. 시멘트 값은 통상 레미콘 업계와 조율하는데 2014년 6월 이후 제자리다. 시멘트 업계는 현재 가격에서 8만2000원에서 8만3000원까지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경기 불황으로 현장에선 톤당 6만8000원 선에서 거래되는데 이는 IMF 시절 납품단가 수준"이라며 "핵심 연료인 유연탄 가격도 오르고 있어 더이상 동결은 어렵다"고 했다.

    시멘트 업계는 장기화된 가격 고착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IMF 외환위기 당시 건설업체가 줄줄이 파산하면서 수요가 급감한 이후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 국내 시멘트 업체의 생산능력은 6200만여톤으로 내수와 수출을 합친 수요 5500만톤을 상회한다.

    올해 정부의 대량 주택공급 신호에 발맞춰 업계의 가격인상 의지가 어느때보다 강하다. 정부는 2·4주택공급대책으로 전국 83만6000호 주택을 공급하기로 했고, 3기 신도시 조성도 사전청약 열기로 가시화되고 있다. 통상 건설경기 호황시절에는 시멘트 업종 주가도 함께 올랐다.

    탈탄소 정책에 따른 비용증가도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이다. 석탄으로 고로를 가열해 제품을 생산하는 업계 특성상 탄소배출을 제로(0)로 줄이라는 주문은 많은 부대비용을 낳는다. 시멘트 산업은 국내 산업부문 탄소 배출의 10% 가량인 연 3900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때문에 대체연료로 폐플라스틱 등 생활폐기물을 활용해 원가절감에 나서고 있지만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삼표시멘트의 경우 대기오염물질 저감 시설에 지난해 131억원을 투자한데 이어 올해는 2개 가량 늘린 26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하지만 레미콘 업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아직 경기가 풀리지도 않았는데 곧바로 가격을 올리면 원가부담이 늘어나 피해가 커질 것이라는 우려다. 레미콘 업계도 위축된 건설경기에 한정된 공사를 두고 출혈경쟁을 벌이고 있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아직 단가인상을 논의하기는 이른 시기"라며 "올 하반기 건설경기가 풀린다는 전망이 현실화되면 그때 다시 논의할 여지는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