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15개 증권사 센터장 대상 조사선진국 10점 기준. 대기업 7점 중기 4점. 중기들 역량 확보 시급석화 철강도 타격 불가피. 반도체·이차전지 유망센터장 17.4% "SK가 가장 잘해" LG·삼전·KB 8.7%
  • ▲ 국내외 ESG 우수기업
    ▲ 국내외 ESG 우수기업
    전세계적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으로는 SK그룹이 '가장 잘하는' 곳으로 꼽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글로벌 ESG 확산 추세가 국내 산업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15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17.4%가 SK그룹이 ESG 경영에 잘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삼성전자, LG화학, KB금융은 각각 8.7%로 나타났다. 해외 기업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우수기업으로 꼽혔고 IT․테크기업의 비중이 높았다.

    이들은 글로벌 경영을 위한 ESG 중 환경 분야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글로벌 ESG 관련 투자·운용 자산규모는 상반기에만 40조5000억 달러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팬데믹에도 ESG 펀드 수익률은 여타 펀드를 상회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ESG 중 E(환경, Environment)가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6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회(Social)과 거버넌스(Governance)를 꼽은 의견이 26.7%와 13.3%로 나타났다.

    평가지표와 관련해서는 기후변화/탄소배출(26.7%)을 가장 핵심으로 꼽았고 지배구조(17.8%), 인적자원관리(13.3%), 기업행동(11.1%), 청정기술/재생에너지(11.1%) 순으로 응답했다. 코로나19 이후 확산되는 글로벌 친환경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라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 ▲ 글로벌 기준 ESG 중요도(왼쪽)와 ESG 평가지표 중요도 비교ⓒ전경련
    ▲ 글로벌 기준 ESG 중요도(왼쪽)와 ESG 평가지표 중요도 비교ⓒ전경련
    현재 국내기업의 ESG 대응수준은 선진국 10점을 기준으로 대기업이 7점인 반면, 중소기업은 4점에 불과해 중소기업의 ESG 대응 여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보면 반도체(28.9%)와 이차전지(26.7%), 자동차(11.1%), 바이오(11.1%) 등을 ESG 확산에 따른 수혜 산업으로 지목했다. 자동차 산업이 3위를 차지한 것이 눈에 띄는데 이는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전기·수소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면 석유제품(28.9%)과 석유화학(26.7%), 철강(26.7%) 등은 투자유치와 수출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이 기업의 ESG 평가에 가장 많이 참조하는 기관으로 모건스탠리(MSCI)가 40.0%로 꼽았다. 이어 블룸버그(ESG Data) 15.0%가 뒤를 이었고 톰슨로이터스, 서스테널리틱스, 한국기업지배구조원 등이 각각 10.0%였다.

    ESG 확산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일관되고 투명한 평가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들 전문가들은 개선과제로 '일관성 확보 및 투명한 평가체계 수립’(40.0%)을 꼽았고, ‘ESG 경영 확산을 위한 제도적 인센티브 마련’(33.3%) 및 ‘글로벌 스탠다드에 준하는 한국형 ESG 평가지표 개발’(26.7%)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 외에도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비재무적 성과에도 시장은 크게 반응하고 있다"며 "이는 수출기업 뿐 아니라 내수 기업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글로벌 시장에서는 환경(E)의 중요성이 큰 반면,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사회(노동)(S)과 지배구조(G)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어 국내 기업은 안팎으로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일관되고 투명한 평가체계의 확립하고 참여기업에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