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부터 국내에서 대규모로 만든다면서 ‘국내 도입’ 여부도 미공개정부 발표에 제약사 유력 후보군만 거론… 신속한 교통정리 필요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접종 계획이 수급문제와 부작용 이슈로 틀어지고 있다. 정부는 상반기 1200만명 접종을 확신하고 있지만 2분기가 훌쩍 지났음에도 모더나, 얀센 백신 물량확보 시점은 여전히 모호하다. 

    백신 수급이 엉키면 11월 집단면역 형성은 불가능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비판여론이 거세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정부는 8월부터 해외백신 대규모 위탁생산이 가능한 제약사가 있다고 발표했다. 문제는 모든 내용을 미공개로 부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15일 범정부 백신도입 태스크포스(TF) 등에 따르면 현재 국내 모 제약사가 해외에서 승인된 백신을 생산하는 것에 대해 계약 체결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오는 8월부터는 모 코로나 백신이 국내에서 대량으로 생산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날 구체적으로 국내 제약사의 이름과 생산할 백신 종류를 밝히지 않았다. 기업 간 계약사항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공개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TF는 “세계 각국이 백신 수급 불안으로 인해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으나 우리나라는 국내 생산 기반이 있어서 상대적으로 불확실성이 적다”고 밝혔다. 

    정부는 해외 백신 위탁생산 계획은 성급하게 발표했지만, 이 물량을 국내에 공급할 수 있는지 등 중요한 사안도 공개하지 않았다. 당장 상반기 접종 계획도 틀어질 위기에 있는데 재차 ‘11월 집단면역’만 강조하고 있다. 

    이날 정부 발표에 국내사 위탁생산 후보로 녹십자, 한미약품,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주가만 요동쳤다. 

    이 중 에스티팜은 정부 발표 후 주주들의 문의가 잇따르자 홈페이지에 ‘mRNA 백신 완제의약품 생산설비는 갖추고 있지 않다’고 공지사항을 게재하기도 했다.

    국내사 중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만한 곳이 어디인지 불명확한 상태인데도 정부가 급작스럽게 발표를 함에 따라 혼란이 가중된다는 지적이다. 

    한 백신업계 관계자는 “어떤 제약사인지에 대한 근거 없는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정보확인에 대한 요청은 많으나 답안은 없는 실정이다. 조속한 시일 내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