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없이 진행됐던 선제검사 없애고 역학분석 통한 효율성 확보 ‘시급’검사 수 대비 확진자 비율은 ‘미비’… 전문가, 감염원인 분석이 먼저 8일 0시 집계, 국내 코로나19 발생 이후 최대 신규 확진 1275명 발생
  • ▲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역 6번 출구에 마련된 임시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PCR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강민석 기자
    ▲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역 6번 출구에 마련된 임시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PCR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강민석 기자
    4차 대유행이 본격화되면서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하루 최다 확진자가 쏟아졌다. 방역망이 느슨해진 틈을 타 델타 변이가 침투했고 걷잡을 수 없는 확산일로에 놓였다. 

    결국 정부는 방역지침 강화를 기반으로 전수조사, 선제조사를 대폭 늘려 대응하고 있다. 문제는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전반적인 감염 확산세를 억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현시점 가장 중요한 부분은 그간 방역당국과 지자체가 진행했던 전수조사, 선제검사 데이터를 전문가와 공유하고 장소, 시간, 연령대에 부합하는 적절한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도한 검사로 인해 조장되는 불필요한 공포심을 없애는 방안도 동시에 고민돼야 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집계자료에 따르면, 8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는 1275명이 발생했다. 전날보다 63명 늘면서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해 1월 20일 이후 약 1년 6개월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이틀 연속 1200명대 확진자도 처음이다.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 발생이 줄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경기, 인천 3개 시도에서만 994명(서울 546명, 경기 387명, 인천 61명)의 지역발생 확진자가 나왔다. 수도권에서만 연일 1000명에 가까운 감염자가 쏟아지고 있다. 

    ◆ 조사-검사 늘려도 해결 불가… 감염 원인부터 찾아야

    이러한 상황 속 정부의 대응책은 전수조사, 선제검사 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방역 정책을 설계하고 있다. 신속한 확진자 선별을 통해 전파를 억제하겠다는 목표인데, 실효성은 떨어진다. 

    이날 방역당국 자료를 보면, 전날 기준 수도권 임시선별진료소에서 7만4787명이 검사를 받았는데 244명이 확진됐다. 비수도권 선별진료소에서는 3921명이 검사를 받았고 14명이 확진됐다. 각각 불과 약 0.3% 수준의 확진자 비율로 조사됐다. 

    다만, 8일 오전 기준 아직 1275명의 최대 확진자가 나온 전날 전체 검사 수가 얼마였는지는 아직 집계 중으로 파악이 어렵다. 

    결국 지금보다 세밀한 검사 수 대비 확진자 비율에 대해 신속히 분석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방역당국과 지자체가 전수조사, 선제조사를 늘리면 동시에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와 국민 공포심이 유발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마상혁 대한백신학회 부회장은 “전수조사·선제검사의 기준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며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우는 식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은 적절한 기준을 통해 실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당국과 지자체가 그간 진행해온 전수조사 데이터를 전문가와 공유해 대응방법을 고민하는 것이 선결과제라는 진단이다. 단순히 확진자 몇 명이 발생했다는 내용이 아닌 구체적 역학정보가 공유돼야 실효성있는 방역망을 꾸릴 수 있다는 것이다. 

    마 부회장은 “막무가내로 검사만 늘린다고 능사가 아니다”라며 “현재 급증하는 20~30대 확진자가 어떻게 감염됐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집중하는 구조로 바뀌었어야 했는데 정부는 분석도 없이 공포만 조장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그냥 지나쳤으니 검사를 받으라고 종용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며 “보여주기식 방역 정책은 당장 멈추고 투명한 정보공개와 이를 통해 방역대책을 재설계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