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환자, 치주질환 진행 속도 더 빨라
  • ▲ ⓒ유디치과
    ▲ ⓒ유디치과
    복부비만은 외모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만성 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내장에 지방이 쌓이면 유해물질 배출 기능이 떨어지고, 체내 염증을 유발한다. 나아가 치주질환을 비롯해 구강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성별에 따라 복부비만이 치주질환 발병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박대윤 유디두암치과의원 대표원장과 함께 관련 내용을 짚어봤다. 
     
    ◆ 복부비만, 치주질환 발병 확률 2.78배 높아

    복부비만은 남성보다 여성의 치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경희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신승일 교수팀 연구에 따르면 복부비만이 있는 여성에게 치주질환이 발병할 확률이 정상인 경우보다 2.78배 높게 나타났다. 

    복부지방에서 여성호르몬이 일정량 만들어지는데, 복부에 살이 찌면 호르몬이 과다 생성될 수 있다. 여성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해 잇몸 혈관을 확장시키고, 세균이 쌓여 만들어지는 치태와 치석이 소량만 생겨도 잇몸이 쉽게 붓고 염증이 생길 수 있다. 

    더욱이 갱년기를 겪는 중년 여성은 급격한 호르몬 변화로 체중이 증가하고 복부에 지방이 축적되기 쉽다. 이때 체내 수분이 줄어들면서 구강이 쉽게 건조해져 치주질환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된다.

    ◆ 비만할수록 빠르게 진행되는 치주질환

    오랜시간 올바르지 못한 생활습관을 유지해 왔다면 비만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식사, 운동, 수면 등 자신의 생활 습관을 살펴보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지방식, 패스트푸드 섭취 대신 섬유질이 풍부한 야채, 비정제 탄수화물인 밀·호밀 등을 꾸준히 먹는 것이 좋다. 

    수면 부족도 복부비만과 치주질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7~8시간 적정 수면시간을 갖는 것이 좋다.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중관리에 힘쓰는 것과 함께 양치질도 중요하다. 비만 환자는 치주질환에 노출될 확률이 높고 증상도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3~6개월마다 검진 및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좋다. 

    박대윤 대표원장은 “치주질환이 잇몸 깊이 진행된 경우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파노라마(엑스레이)로 치아 뿌리와 턱관절을 정밀하게 살펴보면 발견이 가능하다”며 “치아에 문제가 없어도 1년에 한 번 정기적으로 촬영을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