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월 대출만기 연장 121조서 최근 247조로 급등 이자유예 규모 역시 1637억원서 2301억원으로 증가내년 1월 기준금리 인상 가시화… 이자부담 늘어나
  • 내년 1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코로나 대출'의 부실 위험이 더 커졌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올초 대비 원금 및 이자상환 유예 규모가 두배가량 급증한 상황에서 내년 3월 정책 종료에 따른 부실이 표면화될 것이란 지적이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이 금융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10월 기준 대출 만기 연장은 총 95만5000건에 247조4000억원에 달했다. 지난 1월 대출 만기연장이 37만1000건에 121조2000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신청건수는 3배 가까이, 금액은 2배 이상 늘었다.  

    같은기간 원금상환 유예는 5만7000건에 9조원에서 8만6000건에 13조6000억원으로 늘었다. 이자상환 유예 역시 1만3000건에 1637억원에서 1만7000건에 2301억원으로 수직 상승했다. 

    정부는 지난해 4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 일환으로 대출 연장, 이자 유예 등을 시작했다. 애초 6개월 간 한시적으로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6개월씩 3차례 연장하면서 내년 3월 종료를 앞두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지난해 보다 올해신청건수가 큰 폭으로 늘어난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자상환 유예 규모가 증가하는 것은 그만큼 한계기업이 증가하고 있다는 징후로 판단하고 있다. 

    올들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두 차례 올린 데다 내년 1월 추가 금리 인상까지 앞둬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이자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6명 중 5명은 11월 통화정책방향회의서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대응 차원서 공급한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산, 주식·코인 시장으로 흘러들어간데다 물가 상승률까지 가팔라 금리 정상화가 필요하다는 게 공통된 인식이다. 다음 한국은행의 금통위는 내년 1월로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금융당국은 내년 3월 이후 대출 만기 연장 및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의 추가 연장에 대해서는 고심 중이다. 만약 3월 해당 프로그램이 종료되더라도 연착륙 지원 프로그램은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 금융지원이 끝나면 진짜 이자도 내기 어려운 한계기업이 많아져 연체율이 큰 폭으로 증가할 수 있다"면서 "부실 폭탄을 떠안기 전에 연착륙 방안을 빨리 마련해야 할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