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추은호 교수팀, 당화혈핵소 기반 사망률 연구 당화혈색소 6.5~7%일 때 사망률 가장 낮아… 적정관리 중요
  • ▲ 추은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 교수, 최익준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 ⓒ서울성모병원
    ▲ 추은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 교수, 최익준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 ⓒ서울성모병원
    당뇨병을 앓고 있는 국내 급성심근경색 환자 1만여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에서 당화혈색소 6.5% 초과~7% 이하 구간의 사망률이 가장 낮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향후 급성심근경색 예방을 위한 혈당 조절 목표치의 근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은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 교수(순환기내과, 교신저자), 최익준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제1저자) 연구팀 주도로 당화혈색소 기반 사망률 연구가 최근 진행됐다.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8개 병원과 전남대병원에서 심혈관 중재시술(PCI)을 시행한 급성심근경색(AMI) 환자 1만719명 중 당뇨병을 동반하고 당화혈색소를 3번 이상 측정한 138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분석이다. 심근경색 환자의 약 38%(4,093명)가 당뇨병을 동반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분석대상 환자를 당화혈색소 수치에 따라 6.5% 이하, 6.5% 초과~7% 이하, 7% 초과~7.5% 이하, 7.5% 초과~8% 이하, 8% 초과 등 5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평균 6.2년간 추적관찰 한 결과, 평균 당화혈색소가 6.5% 초과~7% 이하 그룹의 예후가 가장 좋았고, 당화혈색소 6.5% 이하 그룹은 대조군(6.5% 초과~7% 이하 그룹)에 비해 사망률이 2.2배, 8% 초과 그룹은 사망률이 2.6배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경향은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추은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당화혈색소 치료 목표치 구간의 사망률이 낮은 경향성이 강하게 나타나 혈당 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했지만, 혈당을 너무 낮출 경우 저혈당의 위험성이 있어, 특히 65세 이상인 노인 환자들은 혈당 관리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가 심근경색증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조절 목표치를 제시한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Cardiovascular Diabetology(IF 9.951)’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