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0.25%p 인상… 연내 1.9%까지내달 금통위 의장없이 개최文-尹 회동 불발에 한은총재 선임 늦어져
  •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년3개월 만에 기준금리 0.25% 인상을 단행했다. 특히 올해 연말 기준금리로 1.9%를 제시하는 등 가파른 추가 인상을 예고해 우리 통화당국을 긴장케 하고 있다.

    연준은 17일 새벽(한국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현재 0.00~0.25%인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한다고 밝혔다. 2018년12월 마지막 금리 인상 이후 39개월 만이다.

    연준은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dot plot)를 공개했는데 여기에서 올해 말 금리 수준을 1.9%로 예상했다. 올해 남은 6번의 FOMC 회의 모두 금리인상을 예고한 것이다. 파월 연준 의장은 "이르면 5월부터 양적긴축 시작이 가능하다"고 분명히 했다.

    미국이 통화긴축 시작을 알리면서 우리 통화당국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한국은행 기준금리(1.25%)는 지난해 8월과 11월, 올해 1월까지 3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해 당장은 대응 여력이 있지만,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더 빨라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모건스탠리는 "FOMC 위원들이 인플레이션을 안정화시키겠다는 의지가 강화고 필요할 경우 장기 균형금리 이상의 금리인상도 가능함을 보여줬다"며 예상보다 매우 매파적이었다고 평가했다.

    금리인상 압박도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7% 상승으로 5개월 연속 3%대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유가가 급등한 이달 물가지수는 더 가파를 것으로 전망된다. 2월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한은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4명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주장했다.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왼쪽)가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뉴데일리 DB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왼쪽)가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뉴데일리 DB
    금융권은 내달 14일 금통위원회를 주목한다. 금리인상 여부는 물론, 향후 인상 시기와 속도를 예상할 수 있는 시그널이 나와야 하는 시점이라는 관측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성을 키우는 상황에서 4월 금통위는 통화당국의 금리기조를 파악 가능한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했다.

    4월 금통위가 의장인 이주열 한은 총재가 빠진 채 열린다는 점은 악재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달 말 임기가 종료되는 이 총재 후임을 아직 인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금통위는 순번에 따라 주상영 위원이 주재하게 된다. 금통위가 의장 없이 열린 적은 단 한번도 없다.

    하지만 16일 예고됐던 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 회동이 불발되면서 차기 한은 총재 인선은 더욱 안갯속에 빠질 전망이다. 총재 지명과 인사청문회 과정을 고려하면 실제 임명까지는 2~3개월 소요된다. 5월26일 금통위까지 의장 부재가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임지원 금통위원도 5월12일 임기가 만료돼 5월 금통위에는 불참한다.

    대외 금융환경 격변기에 금통위가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금통위는 5명 이상 출석, 과반수 찬성으로 금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 총재와 임 위원이 없다고 해서 열리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미 연준의 긴축 시그널이 분명해졌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점점 커지고 있어 전문성 있는 후임 인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