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서 밀려난 대출 몰려금리인상기 취약차주 연체발생 우려코로나 대출 원리금 유예조치도 부담
-
지난해 이어 올해 들어서도 2금융권의 가계대출 쏠림이 지속되고 있어 부실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취약계층이 2금융권을 주로 이용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금리인상기에 이자부담이 커지면서 연체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11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과 카드·보험사 등 2금융권의 대출잔액이 4월말 기준 약 1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카드·캐피탈사 등 여전사의 가계대출이 6000억원이나 증가했다. 보험사(2000억원)와 저축은행(3000억원)도 늘었다.
올해 들어 2금융권 가계대출은 ▲1월 -3000억원 ▲2월 -1000억원 ▲3월 -2조6000억원 등 줄곧 감소세를 보여왔다. 정부의 가계대출 총량규제로 인해 금융사들이 가계대출을 줄여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2금융권 중 신협·농협·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을 제외하곤 올해 들어 증가추세다. 보험사의 가계대출은 ▲1월 3000억원 ▲2월 3000억원 ▲3월 -3000억원 ▲4월 2000억원 등 4개월간 5000억원이 증가했다. 저축은행도 같은 기간 7000억원 늘었고 여전사도 6000억원 가량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시중은행에서 대출 조이기가 지속되면서 풍선효과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대출 증가세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정부의 총량규제 강화, 차주단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확대 시행 등 강도 높은 대출규제로 인해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어려워져서다.
문제는 금리인상기가 본격 시작되면서 2금융권의 차주 특성상 대출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취약차주가 다수 분포된 2금융권은 금리가 오를 경우 이자부담이 커지면서 연체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 한국신용정보원이 지난해 말 발간한 '저축은행 신용대출 차주 특성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저축은행 신용대출 차주 10명 중 6명은 다중채무자로 집계됐다. 또 저축은행 시용대출의 76%가 중신용자, 21%가 저신용자로 집계됐다.
게다가 약 2년간 지속된 코로나19 여파로 정부가 시행한 원리금 상환 유예조치도 부실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중소기업·소상공인의 대출원리금 만기연장 및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가 2020년 4월부터 지속적으로 연장되면서 부실율이 왜곡돼 잠재부실 가능성이 오히려 높아진 것이다.
아직 2금융권 내 대출금리 상승이 본격화되지 않았지만 기준금리 인상으로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대출금리 인상으로 연체가 급증할 경우 2금융업권 부실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2금융권 신용대출은 대부분 은행에서 밀려난 저신용자인데다 대출금리도 고금리이기 때문에 금리상승기에 더 취약하다"며 "대출금리가 높아질 경우 연체가 늘어나게 되고 원리금 상환도 어려운 차주들은 파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