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들, 구조조정 자금 전수조사비온라인 계정 미비 집중 점검"공동전산 구축, 전자문서화 시급"
-
금융지주사들의 전 계열사의 비(非)온라인 계정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이고 있다.우리은행 600억원대 횡령사고와 관련한 대응책 일환이다.비온라인 계정이란 은행의 일반적인 전산 본거래와 연동되지 않고 별도의 추가적 거래를 통해 회계장부에 기록되는 계정을 이른다.주로 구조조정이나 M&A 자금, 소송 관련 공탁금 등 은행이 한시적으로 보관 중인 특수한 자금이 포함돼있다.대부분의 은행들이 일반적인 전산시스템이 아닌 개별 회계장부를 통해 이 자금을 관리하고 있는 형편으로 우리은행 사고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금융권 관계자는 “재무제표에 포함되지 않는 특수한 자금에 대한 금감원의 명확한 감사 시스템도 없고 자금을 관리하고 수시로 잔액증명서를 확인해야 하는 채권단의 관리도 부실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비온라인 계정이 전산에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내부통제나 관리감독에 소홀할 수밖에 없었다는 지적이다.그러면서 "회계법인에 책임을 묻기도 어려운 상황으로 보인다"며 "비온라인 계정에 대한 온라인 전산시스템이 전무한 게 문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전문가들은 재발방지를 위해 금융기관이 기업 구조조정, M&A 업무를 할 때 관련 자금을 채권단이 공동으로 투명하게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서둘러 전산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한다.또 업무 처리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부실기업을 관리하는 부서의 내‧외부 문서를 모두 전자문서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실제 횡령 사고가 터진 우리은행 기업개선부의 문서는 대부분 기밀을 이유로 ‘수기’ 처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업무의 특수성 때문에 내부 전자문서 시스템을 거치지 않은 점이 외려 문서 위조에 악용된 실정이다.우리은행 직원 A씨는 2012년~2018년에 걸쳐 소송 공탁금과 부동산 신탁회사, 한국자산관리공사에 돈을 맡기는 것처럼 문서를 위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