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올 세계경제 4.5→3.0%… 물가 4.4→8.8%"러·우 전쟁 여파에 中 봉쇄조치 등에 회복세 둔화한국, 물가상승률 2.1→4.8% 급등… 내년도 4% 육박
  • ▲ 경제성장률 하향.ⓒ연합뉴스
    ▲ 경제성장률 하향.ⓒ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가 2.7% 성장할 거로 내다봤다. 내년엔 2.5%로 성장세가 둔화할 거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8%까지 올려잡았다.

    ◇OECD, 올해 韓성장률 2.7%로 낮춰

    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발표한 OECD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7%로 제시했다. 지난해 12월 전망치(3.0%)보다 0.3%포인트(p) 낮춰 잡았다.

    기재부는 올해 성장률 전망이 하향 조정됐으나 다른 회원국에 비해 조정폭은 크지 않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핵심산업에 대한 기업의 대규모 투자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효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민간소비 회복 등이 급격한 성장률 하락을 막았다는 분석이다.

    OECD가 제시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3.0%로 종전 전망치(4.5%)보다 1.2%p 낮다. 주요 20개국(G20) 성장률은 2.9%로 지난해 12월(4.7%)보다 1.8%p 내렸다. 유로존은 2.6%로 종전(4.3%)보다 1.7%p 하향 조정했다.

    OECD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주요 도시 봉쇄령 여파 등으로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성장률 하향 조정폭은 러시아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은 유럽국가에서 상대적으로 더욱 컸다. 반대로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국제유가 급등으로 말미암아 성장률이 2.8%p 오른 7.8%로 제시됐다.

    문제는 OECD가 내년에도 성장세 둔화를 예상했다는 점이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8%로 종전(3.2%)보다 0.4%p 내려잡았다. 올해와 비교해도 0.2%p 낮다. 미국은 1.2%로 종전(2.4%)과 올해(2.5%) 전망치의 반토막 수준이다. 영국은 0.0%로 역성장은 모면했다. 이는 종전(2.1%)보다 2.1%p나 낮은 수치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OECD는 내년 한국의 성장률을 2.5%로 내다봤다. 종전(2.7%)보다 0.2%p 낮춰잡았다. 올해(-0.3%p)에 이어 내년에도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봤다.
  • ▲ 고물가.ⓒ뉴데일리DB
    ▲ 고물가.ⓒ뉴데일리DB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8%로 올려

    소비자물가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여파로 일제히 올려잡았다. OECD 회원국의 물가 전망은 올해 8.8%로 종전(4.4%)보다 4.5%p 상향했다. 내년에는 6.1%로 상승세가 올해보다는 꺾일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전망치(3.1%)보다는 3.0%p나 올렸다. 국제 원자잿값 강세, 글로벌 공급망 차질 장기화 특히, 유럽연합(EU)의 러시아산(産) 원유 수입금지 조치 영향 등을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유로존의 올해 물가 상승률은 7.0%로 제시했다. 지난해 12월 전망치(2.7%)에서 4.3%p나 상향조정했다.

    한국은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8%로 내다봤다. 종전(2.1%)보다 2.7%p 높다. 이는 한국은행(4.5%), KDI(4.2%), 국제통화기금(IMF·4.0%) 등의 전망치를 웃돈다.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에는 3.8%로 상승폭이 둔화하겠지만, 종전(1.5%) 전망치보다는 2.3%p나 올려잡았다. 기재부는 "물가상승률 조정폭도 OECD 평균 조정폭보다 작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 ▲ OECD 한국 경제전망.ⓒ연합뉴스
    ▲ OECD 한국 경제전망.ⓒ연합뉴스
    ◇우크라사태·통화긴축 등 불안요인

    OECD는 이번 전망보고서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심화, 물가상승 압력 확대·장기화, 통화긴축 과정에서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시장·신흥국 부실 촉발 등을 주요 하방리스크로 지목했다. 이어 앞으로 정책방향으로 저소득국가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식량 공급을 위한 국제적 협력, 거시경제 여건에 따른 통화정책 정상화,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등을 권고했다.

    한국에 대해선 기대인플레이션(기업·가계 등이 예상하는 향후 1년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의 안정적 관리,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재정지원, 구조개혁, 공급망 복원력·에너지안보 제고 등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