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MBK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매각 협의 중10월 국감 일정 전 8~9월 정기국회 협상 마무리 목표골목상권 논란 벗어나기 위한 수순... 노조 "국감 피할려는 꼼수 불과"
  • 카카오가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을 공식화한 배경에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사업 확장성이 담보되지 못한다는 표면적인 이면에는 국정감사 출석을 피하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7일 카카오에 따르면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이하 MBK)의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물밑협상을 진행 중이다. 양측은 카카오의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57.5% 중 10%를 인수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당초 카카오는 MBK에 40%의 지분을 매각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노조의 반발에 일부 지분을 남기는 방식으로 선회했다. 2대 주주로 남아 향후 사업을 영위할 방법을 설계하겠다는 판단에서다.

    카카오가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을 추진하는 표면적인 배경으로는 불안정한 글로벌 금융시장에 따른 기업공개(IPO) 일정에 차질을 빚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카카오택시의 '콜 몰아주기' 의혹에 따른 공정거래위원회 제재 및 전화호출 대리운전의 중소기업 적합 업종 지정 등으로 사업 확장에 제동이 걸렸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불거진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 매각의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된다. 당시 카카오모빌리티는 대표적인 콜목상권 침해 서비스로 정치권과 금융권의 집중 견제를 받았다. 급기야 국정감사에 김범수 창업자가 세 차례나 불려가 국민들에게 사과를 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카카오는 국민 기업에서 독점 기업으로 낙인찍히며 정부의 전방위 규제 압박에 시달렸다. 김 창업자는 의장직을 내려놓고 모든 공식 직위에서 물러났으며, 카카오그룹의 5개 상장사 시총은 지난해 말 대비 50조 5500억원이나 증발했다.

    카카오는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 시점을 공식화하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는 10월 열리는 국정감사 전으로 목표를 세운 것으로 파악된다. 더이상 회사 대표가 국정감사에 불려나가는 일을 방지하겠다는 차원에서다. 카카오모빌리티 2대 주주로 남게되더라도 그 책임은 덜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대해 카카오 노조는 "지난해 카카오모빌리티는 처음으로 영업이익의 흑자 전환을 했고 사회적 책임 또한 이행 중"이라며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은) 김 창업자가 올해 국정감사를 피하려고 하는 꼼수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