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2020년 총선부터 댓글 본인확인제 잠정 유지다음뉴스 개편한 카카오, 네이버와 유사한 댓글 정책 선봬드루킹 사태 비롯 댓글 논란 재발생 '원천 차단' 의지… 정치권 입김 벗어나기 일환
-
네이버와 카카오가 포털 서비스의 댓글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시스템을 지속 개편하고 있다. 과거 드루킹 사태를 비롯한 댓글 논란이 일어날 수 있는 여지를 원천 차단해 정치권의 입김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움직임이란 분석이 나온다.◆ 본인확인제 도입으로 댓글 작성 책임 강화2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더 나은 댓글문화 조성을 목표로 개편을 진행했다. 앞서 카카오는 ▲불쾌한 내용의 댓글을 AI기술로 분석해 가려주는 세이프봇 ▲연예·스포츠 댓글 잠정 중단 ▲자동화 프로그램을 이용한 부정 클릭 등을 방지하기 위한 매크로 차단 ▲댓글에 남긴 피드백을 바탕으로 댓글을 임의 순서로 노출하는 ‘추천댓글’ 정렬 ▲기사를 쓴 언론사에 다음뉴스의 댓글영역 열림·닫힘 권한 제공 등의 개선을 진행해 왔다.다만, 카카오 측은 “이 같은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댓글 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존재했다”며 “다음뉴스는 댓글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댓글 작성 책임을 강화하는 방법이 우선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이를 위해 카카오는 다음뉴스에 선거기간 한시적으로 적용했던 본인확인제를 상시 적용하도록 규정을 변경했다. 카카오 측은 이를 통해 부정확한 정보 및 무분별한 비방이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건강한 의견 교환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네이버의 경우에는 2020년 4월 총선부터 시행 중인 본인확인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댓글 작성자의 닉네임과 작성글, 삭제 등 활동 이력 전반 공개 ▲인공지능으로 악성 댓글을 자동 차단하는 ‘클린봇’ ▲특정 댓글 작성자의 글 원천 차단 기능 도입 ▲AI 기술을 통한 악성 댓글러 판단 및 필터기능 제공 등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는 실명제로 가야 한다는 의견을 반영한 결과다.본인확인제의 경우 네이버와 카카오 모두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등 한시적으로 적용해왔다. 하지만 여러 번의 선거를 거치면서 이용자 사이에 본인확인제도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고 네이버와 카카오 모두 100%에 가까운 이용자가 본인확인을 완료한 상황이다.◆ 댓글 최대 작성 수 축소... 특정 이용자 목소리 과도 반영 방지특정 의견이 과다대표되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댓글 최대 작성 수도 축소한다. 카카오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다음뉴스 이용자 중에서 하루에 댓글을 한 번이라도 다는 이용자는 전체의 2% 미만이다.특히, 1번이라도 댓글을 작성한 이용자의 댓글 작성 통계를 보면, 그 안에서도 소수의 이용자가 댓글을 과다하게 작성하는 현상이 드러났다. 예를 들어, 하루에 1~20개의 댓글을 다는 이용자는 작성자 중 약 99%를 차지하며, 해당 이용자들이 다는 댓글은 전체 댓글의 90% 수준이다.반면, 하루 21개 이상의 댓글을 작성하는 이용자는 작성자의 약 1% 정도지만 해당 이용자가 다는 댓글은 전체의 10% 정도를 차지한다.카카오 측은 “통계를 종합하면 하루에 21개가 넘는 많은 수의 댓글을 작성하는 이용자는 전체 이용자의 0.02%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이 이용자들이 작성하는 댓글은 전체의 10% 내외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해당 현상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특정 이용자의 목소리가 과도하게 반영될 수 있는 만큼, 카카오 측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24시간 기준 최대 30개까지 작성 가능한 댓글을 20개로 축소 적용했다.네이버는 지난 2018년 4월부터 1개 기사에 댓글 게시를 최대 3개로 제한하고 하루 20회의 댓글 등록 제한을 두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는 하루 20회 등록 제한을 넘지 않는 한도에서 기존 댓글을 삭제하면 기사에 게시가 가능한 댓글 수가 늘어나는 방식을 폐지하고 삭제해도 게시 가능한 댓글 수가 늘어나지 않도록 강화했다.업계에서는 드루킹 사태 이후 댓글 관련 정책을 선도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네이버를 따라 카카오 역시 규정 강화·개선에 나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업계 관계자는 “오랜 기간 지속되고 있는 댓글 시스템의 문제점을 단기간에 해결하기란 쉽지 않다”며 “최근 일련의 댓글 시스템 개편이 유의미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만큼,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