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 수출금지 발표 후 반도체산업 발전 계획안 발표선전시, R&D 프로젝트에 매년 1000만위안 지원 약속'반도체 전쟁' 본격화로 삼성·SK 고민… 단기 불확실성은 제거
  • ▲ 자료사진. ⓒ삼성전자
    ▲ 자료사진. ⓒ삼성전자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산업 발전을 막기 위해 반도체 장비 수출을 금지하는 등 견제를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자국 반도체 지원 정책을 확대하며 '반도체 굴기'를 이어가고 있다.

    1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 광둥성 선전시는 지난 8일(현지시간) 반도체 산업 발전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에는 선전에 있는 반도체 기업이 생산 라인을 업그레이드하면 설비당 최대 15억위안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안이 담겼다.

    선전시는 이를 위해 반도체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해마다 최대 1000만위안 또는 해당 비용의 20%까지 지원을 약속했다. '리스크 파이브(RISC-V)' 등 개방형 반도체 설계기술에 기반해 작업하는 기업, 국산 반도체 전자설계자동화(EDA) 소프트웨어 구매 기업에도 최대 1000만 위안의 보조금 등을 지원한다. IC산업을 위한 핵심 장비와 부품에 집중하는 기업이 관내 공장을 세우면 최대 3000만 위안을, 핵심 연구·개발·관리 인재가 관내 취업시 최대 500만 위안을 현금 보상하기로 했다.

    이번 계획은 미국이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를 발표한 직후 나온 대책이다. 앞서 미 상무부는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기업이 ▲ 18㎚(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 D램 ▲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 14㎚ 이하 로직칩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는 내용의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이 조치에는 미국 기업뿐 아니라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중국 반도체 업체를 지원하는 것을 제한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중국은 미국의 제재에도 반도체 생산 시설을 확대하며 맞서고 있다. 중국은 2013년부터 '반도체 굴기'를 본격화했다. 2014년과 2019년 각각 1390억 위안, 2040억위안 규모의 1·2차 국가반도체산업투자펀드'를 조성한 바 있다. 2015년에는 첨단 제조업 육성전략인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하며, 반도체 부문에서 2025년까지 자급률을 7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전쟁'이 지속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서 낸드 전체 생산의 40%가량을 담당하고 있고, 쑤저우에서도 테스트·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이다. SK하이닉스도 중국 우시에 D램 제조시설, 다롄에는 인텔에서 인수한 낸드 제조시설이 있는데, 우시 공장의 경우 SK하이닉스 D램 생산의 절반가량을 책임지고 있다.

    이처럼 국내 업체들이 반도체 최대 소비국 중 한 곳인 중국 시장을 외면할 수 없는 가운데 미국은 한국을 비롯해 일본, 대만 등 우방 국가에게 반도체 동맹인 '칩4' 가입까지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최근 미 상무부가 중국 현지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는 미국산 장비 수입을 1년 간 허가하겠다고 밝히며 한시름 놓게 됐다. 이로써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앞으로 1년 동안 미국산 장비를 추가적인 허가 없이 중국 공장에 반입할 수 있게 됐다. 미국 정부가 중국에 반도체 장비 수출을 금지한 조치를 두 회사는 1년 간 유예받게 된 셈이다.

    SK하이닉스는 "중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에 필요한 장비를 1년 간 미국의 별도 허가 없이 공급받기로 미국 상무부와 협의가 됐다"며 "향후 1년 간 중국 내 생산활동을 문제없이 할 수 있게 됐고 앞으로도 우리 정부와 함께 미국 상무부와 긴밀히 협의해 국제질서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중국 공장을 운영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