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소비자가 카드값을 갚지 못해 대출로 돌려막는 '리볼빙'(일부 결제금액 이월약정) 잔액이 처음으로 7조원을 넘어섰다.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한계차주가 급증했다는 의미다. 카드사들은 충당금을 쌓고 대출심사를 강화하는 등 대비에 들어갔지만 실적악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월말 기준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은 7조756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달(6조9378억원)보다 1378억원(2%) 증가한 것은 물론 지난해 9월(5조8570억원)보다는 20% 이상 늘었다. 올해 들어서도 7개월 연속 증가세다.
무엇보다 리볼빙 수수료율도 높아졌다. 지난 10월 말 기준 7개 전업 카드사의 리볼빙 평균 수수료율은 14.35~18.46%로 집계됐다. 9월 말 평균 수수료율이 14.19%~18.19%였던 것과 비교하면 한 달 새 0.16~0.27%포인트(p) 상승했다. 법정 최고금리인 20%에 육박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카드론이나 리볼빙 등 카드사에서 받을 수 있는 대출이 최근 크게 증가했다"며 "최근 조달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수수료율을 낮추는데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요즘 같은 금리인상기에는 취약차주의 대출 상환이 어려워지고 빚을 못 갚는 한계차주도 늘게 된다. 상환능력이 떨어진 소비자들이 대출을 막기 위해 새로운 대출을 통해 기존의 대출을 상환하는 대출 '돌려막기' 행위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카드사들은 고객들의 상환 여력 저하와 연체 등 부실 위험이 높아질 것을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대폭 늘리고 대출 심사도 강화하고 있다.
카드사가 쌓은 대손충당금은 지난해 말 9조6753억원에서 지난 상반기 10조1483억원으로 증가했다. 올해에만 4730억원(대손준비금 2548억원 포함)을 추가 적립하며 위기에 대비하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리볼빙은 사실상 연체되는 금액을 이월하는 용도로 쓰이기 때문에 한계차주가 늘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며 "코로나 금융 지원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부실 채권이 늘고 있다는 점은 대출자들의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월말 기준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은 7조756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달(6조9378억원)보다 1378억원(2%) 증가한 것은 물론 지난해 9월(5조8570억원)보다는 20% 이상 늘었다. 올해 들어서도 7개월 연속 증가세다.
무엇보다 리볼빙 수수료율도 높아졌다. 지난 10월 말 기준 7개 전업 카드사의 리볼빙 평균 수수료율은 14.35~18.46%로 집계됐다. 9월 말 평균 수수료율이 14.19%~18.19%였던 것과 비교하면 한 달 새 0.16~0.27%포인트(p) 상승했다. 법정 최고금리인 20%에 육박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카드론이나 리볼빙 등 카드사에서 받을 수 있는 대출이 최근 크게 증가했다"며 "최근 조달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수수료율을 낮추는데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요즘 같은 금리인상기에는 취약차주의 대출 상환이 어려워지고 빚을 못 갚는 한계차주도 늘게 된다. 상환능력이 떨어진 소비자들이 대출을 막기 위해 새로운 대출을 통해 기존의 대출을 상환하는 대출 '돌려막기' 행위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카드사들은 고객들의 상환 여력 저하와 연체 등 부실 위험이 높아질 것을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대폭 늘리고 대출 심사도 강화하고 있다.
카드사가 쌓은 대손충당금은 지난해 말 9조6753억원에서 지난 상반기 10조1483억원으로 증가했다. 올해에만 4730억원(대손준비금 2548억원 포함)을 추가 적립하며 위기에 대비하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리볼빙은 사실상 연체되는 금액을 이월하는 용도로 쓰이기 때문에 한계차주가 늘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며 "코로나 금융 지원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부실 채권이 늘고 있다는 점은 대출자들의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