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3개 건설현장 중 31곳(13.3%) 중단·지연중단 이유 66.7%는 PF 미실행본 PF 문제시 캠코 NPL 매입이 대안
-
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부동산PF 위기 원인 진단과 정책적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월 40개 건설업체의 사업장 233곳 중 31곳(13.3%)의 공사가 지연되거나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단된 사업장은 9곳이었다.
공사가 지연 혹은 중단된 주된 이유로는 'PF 미실행'이 꼽혔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은 PF 진행 과정에서 책임준공이나 연대보증, 채무인수 등과 같은 형태의 신용보강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부동산개발사업 인·허가 단계에서 필요한 자금을 빌려주는 브릿지론의 경우 건설업체 40곳이 운영하는 233개 사업장 가운데 28곳(12.0%)이 신용보강을 받고 있었다. 건설공사가 시작되면 일으키는 본 PF의 경우 233개 사업장 가운데 절반 이상인 144곳(61.8%)에서 건설업체의 신용보증을 담보로 했다.
부동산 PF가 건설업체 신용을 기초로 실행되는 일종의 '담보대출'에 가까운 형태인 셈이다. 지난해까지 금리가 낮다 보니 증권사와 보험사, 저축은행과 같은 금융회사들이 앞다퉈 PF사업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연말까지 약 34조원 규모의 만기가 돌아오는데, 이를 막지 못하면 건설사와 금융회사들이 줄도산 위기에 처할 수 있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시장에선 이미 여러 건설사들의 부도설이 파다하다"면서 "연말에 돌아오는 어음을 막지 못한 건설사들이 연쇄 부도가 일어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급기야 부동산 PF 유동성 위기가 2008년 저축은행 사태와 닮은꼴이라는 분석이 나오기 시작했다. 캠코가 부실채권(NPL) 인수 프로그램을 가동해 배드뱅크 설립을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캠코는 2008년부터 3년간 저축은행의 부실 부동산 PF 채권을 인수하는 업무를 맡았다. 캠코가 인수한 저축은행들의 부실 부동산 PF채권 규모는 484개 사업장, 7조3800억원에 이른다.
업계 한 전문가는 "연말에 금리가 추가 인상되면 부동산시장이 더욱 얼어붙게 되고 금융권에서 PF 대출을 더 조이면서 일부 사업장의 부도 위험성이 커질 것"이라며 "캠코가 2008년 부동산 PF 채권을 대량 인수한 것처럼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