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대 이요한 교수팀, 사회경제적 요인 기반 연구결과 발표청년 남성 위험도 급상승… 사회적 지원체계 확대 필수
-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이혼한 청년 남성은 자살위험이 17.5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요한 교수 연구팀은 경제활동인구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자살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1저자, 보건대학원 최민재 연구교수)를 28일 공개했다.이번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살사망자 전수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교육 수준이 낮거나, 경제활동을 하지 않거나, 이혼을 한 경우 자살위험이 높게 나타났다.이는 전 연령층에서 관찰됐으나 25~34세 남성의 경우 자살위험이 17.5배로 급격히 증가했다.25~34세 여성 중 이혼을 경험한 경우, 자살위험이 기혼 청년층에 비해 7.9배 높았다.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살사례가 사회경제적 요인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과 사회적 환경에 가장 많이 노출되고 있는 경제활동 인구 내에서 연령 별로 자살위험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연구팀은 “개인이 처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은 심리적, 사회적 지지를 함께 제공해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보건의료와 사회경제적 접근의 병행이 필요하다는 의미다.특히 실업과 이혼 같은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이들이 겪는 정신적 어려움은 더 크기 때문에 정신적 어려움을 상세하게 파악하고, 사회적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번 연구 책임자인 이요한 교수는 “현재 고도화된 한국 사회에 진입하는 사회 초년기 청년들은 다양하고 여러 사회적 어려움을 직접 마주하게 되지만, 사회적 안전망은 다른 성인 연령층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어려움의 무게는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이어 “코로나 팬데믹으로 청년 실업률과 이혼율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청년들의 어려움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들이 정신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는 사회 의학 분야 SCI 저널 ‘SSM-Population Health (IF=4.08)’ 최근호에 ‘결혼상태, 교육 수준, 그리고 경제활동이 자살에 미치는 개별 및 복합적 영향’이라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