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원인정보·치매관리정보 등 범위 확장공공데이터 개방 활성화… 제공기관 4곳서 9곳으로
-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통계청 자료가 추가된다. 기존에는 사망 연월정보만 확인이 가능했지만 이제 사망원인 정보까지 담기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연구분석이 이뤄질 전망이다.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분야 공공데이터 결합을 통한 데이터 활용이 활성화되도록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을 늘리고 신규데이터 종류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올해부터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공공데이터를 제공·개방하는 기관은 전년대비 5개소가 추가되어 총 9곳이다. 데이터 종류도 기존 31종에서 26종 늘어나 총 57종으로 확대된다.기존에는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암센터의 자료만 존재했는데 올해는 통계청, 국립재활원,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국립중앙의료원,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까지 늘어난다.복지부는 “연구자의 눈높이와 수요에 맞춰 필수적인 데이터를 지원하는 데에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제공의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연구 분야도 넓어진다.일례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 건보공단의 사망연월정보만 제공했지만, 통계청의 사망원인정보가 추가되면서 질병 유뮤와 사망률 등의 상세한 연구가 가능해졌다.또 국립중앙의료원의 치매관리정보가 추가돼 치매예방, 치료 등의 근거도 만들 수 있게 됐다.전날(13일) 복지부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3년도 제1회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실무협의체 회의를 개최하고 공공기관 데이터 확대·개방 방안을 논의했다.이날 회의에서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연 2회 이상 데이터 활용신청 접수를 받고, 신속한 데이터 제공을 지원하기로 했다.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이 점차 확대되고 연구자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 활용 가능한 공공데이터 개방 및 사용자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제공기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라고 밝혔다.이어 “앞으로도 원활한 연계를 위하여 연구자, 데이터 제공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경청해 연구자에게 폭넓은 연구데이터 활용기회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