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데이터 표준화 등 지원체계 구축 난치성 질환 극복 차원서 추진 부재한 운영지침, 전문가 의견수렴부터 시작
-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분야 활성화를 위해 향후 5년간 정부 주도의 지원체계가 형성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간과 공존하고 있는 미생물 군집을 의미하며 건강·질병과 밀접한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질병관리청은 보건복지부와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1단계 사업(2023~2027년)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난치성 질환에 특화된 국가 차원의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연구 플랫폼 및 한국형 표적 치료 후보물질·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아직 국내에는 해당 분야 연구를 위한 구체적 지침이 부재한 상황으로 먼저 질병청은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국내 권역별 의료기관 대상으로 네트워크 구축 및 환자 검체, 임상정보 수집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신체 주요 부위별 표준 프로토콜, 품질관리 지침 등을 확립한다. 이 과정에서 통합 데이터베이스도 운영된다.인프라 구축과 동시에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연구에 들어간다.부처별 업무 특성을 고려해 난치성 감염질환(질병청), 비감염질환(복지부) 등 질환 중심의 임상 연계를 통한 치료 후보물질 및 치료제 개발을 수행한다. 연구 분야는 소화기, 호흡기·구강, 피부·비뇨·생식기로 구분해 적용된다.본격적 사업 추진에 앞서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이날 서울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설명회를 개최한다.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설명과 운영 지침 마련을 위한 내용 발표·토론 및 각계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위해 진행된다.또한 고품질의 표준화된 임상정보, 검체, 유전체 정보 등을 국내 보건의료계, 학계, 연구 및 제약·바이오 산업계 관계자들에게 제공할 방침이다.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설명회를 시작으로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사업에 대한 표준화된 운영지침이 잘 마련되길 바란다”며 “연구를 통해 한국형 표적 치료 후보물질 및 치료제가 하루 빨리 개발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