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건정심서 논의 후 이르면 내달 제도권 안착원규장 이사장 "줄어든 인슐린 사용률 제고에 집중"교육수가 신설 등 당뇨치료 체계 전반적 점검 요청
-
당뇨병치료제 SGLT-2 억제제 병용요법이 건강보험 급여 가시권에 접어들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국내 당뇨치료 체계에서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이번 기회에 외면받고 있는 ‘인슐린 주사’ 대책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10일 본보를 통해 원규장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은 “절차가 남아있긴 하지만 SGLT-2 억제제 병용요법 급여화가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혈당 조절 실패를 방어하기 위해 적극적 치료가 필요했던 상황”이라고 밝혔다.보건복지부는 이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SGLT-2 억제제 병용요법 급여화를 안건으로 올려 심의할 예정이다.구체적으로 ▲메트포르민+SGLT-2 억제제+DPP-4 억제제 ▲메트포르민+SGLT-2 억제제+TZD 등 3제 요법 ▲SGLT-2 억제제+SU(설포닐우레아) 계열과의 2제 요법 ▲SGLT-2 억제제+인슐린 주사 병용 등을 추진하고 있다.국내에서 처방되고 있는 SGLT-2 억제제는 아스트라제네카의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 베링거인겔하임 ‘자디앙(엠파글리플로진)’, 아스텔라스 ‘슈글렛(이프라글리플로진)’, 한국MSD ‘스테글라트로(에르투글리플로진)’ 등이다.원 이사장은 “국내의 경우는 유독 DPP-4 억제제가 치료의 근간을 형성한 상태라 한계가 존재했다”며 “병용요법 급여화가 확정되면 환자들은 비용면이나 치료 효과적인 면에서 이득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환자도 의사도 멀리하는 ‘인슐린’… 관리 안 되는 ‘혈당 조절률’당뇨병학회의 숙원과제였던 병용요법 급여화는 이르면 4월부터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학회의 다음 숙제는 ‘인슐린 사용률’을 높이는 것이다. 유독 국내에서 인슐린 요법은 제한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원 이사장은 “인슐린 사용에 대한 환자의 부담감과 동네의원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 등으로 여전히 외면받고 있는 현실”이라며 “인슐린에 대한 거부감은 곧 당뇨 치료의 장벽”이라고 설명했다.당뇨병학회가 발행하는 ‘당뇨병 팩트시트’에 따르면 1년에 3회 이상 인슐린이 처방된 환자의 비율은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10%를 넘겼지만 지금은 8%대이며 점차 줄고 있다.그는 “환자는 늘어나는데 혈당 조절률이 떨어지는 추세라는 점을 인지해야 할 때”라며 “경구용 약제와 함께 인슐린 처방이 늘어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이어 “일본과 달리 국내에서는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당뇨병 환자를 교육 및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없다”며 “정부는 건보 재정적 측면에서 고민이 많겠지만 현실적인 교육수가를 만들어 대응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실제 당뇨병 환자에게 인슐린 교육 및 관리가 진행되려면 경구용 약제 처방 대비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별도의 수가도 책정되지 않은 상태라 일선 의원급에서 이를 배제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이다.원 이사장은 “SGLT-2 억제제 병용요법 급여화라는 변화가 발생하는 시기인 만큼 당뇨 치료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인슐린 처방률 문제와 수가 신설에 대한 논의도 동시에 이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