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건정심서 논의 후 이르면 내달 제도권 안착원규장 이사장 "줄어든 인슐린 사용률 제고에 집중"교육수가 신설 등 당뇨치료 체계 전반적 점검 요청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당뇨병치료제 SGLT-2 억제제 병용요법이 건강보험 급여 가시권에 접어들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국내 당뇨치료 체계에서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이번 기회에 외면받고 있는 ‘인슐린 주사’ 대책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일 본보를 통해 원규장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은 “절차가 남아있긴 하지만 SGLT-2 억제제 병용요법 급여화가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혈당 조절 실패를 방어하기 위해 적극적 치료가 필요했던 상황”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이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SGLT-2 억제제 병용요법 급여화를 안건으로 올려 심의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메트포르민+SGLT-2 억제제+DPP-4 억제제 ▲메트포르민+SGLT-2 억제제+TZD 등 3제 요법 ▲SGLT-2 억제제+SU(설포닐우레아) 계열과의 2제 요법 ▲SGLT-2 억제제+인슐린 주사 병용 등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 처방되고 있는 SGLT-2 억제제는 아스트라제네카의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 베링거인겔하임 ‘자디앙(엠파글리플로진)’, 아스텔라스 ‘슈글렛(이프라글리플로진)’, 한국MSD ‘스테글라트로(에르투글리플로진)’ 등이다. 

    원 이사장은 “국내의 경우는 유독 DPP-4 억제제가 치료의 근간을 형성한 상태라 한계가 존재했다”며 “병용요법 급여화가 확정되면 환자들은 비용면이나 치료 효과적인 면에서 이득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환자도 의사도 멀리하는 ‘인슐린’… 관리 안 되는 ‘혈당 조절률’ 

    당뇨병학회의 숙원과제였던 병용요법 급여화는 이르면 4월부터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학회의 다음 숙제는 ‘인슐린 사용률’을 높이는 것이다. 유독 국내에서 인슐린 요법은 제한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원 이사장은 “인슐린 사용에 대한 환자의 부담감과 동네의원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 등으로 여전히 외면받고 있는 현실”이라며 “인슐린에 대한 거부감은 곧 당뇨 치료의 장벽”이라고 설명했다. 

    당뇨병학회가 발행하는 ‘당뇨병 팩트시트’에 따르면 1년에 3회 이상 인슐린이 처방된 환자의 비율은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10%를 넘겼지만 지금은 8%대이며 점차 줄고 있다.

    그는 “환자는 늘어나는데 혈당 조절률이 떨어지는 추세라는 점을 인지해야 할 때”라며 “경구용 약제와 함께 인슐린 처방이 늘어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일본과 달리 국내에서는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당뇨병 환자를 교육 및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없다”며 “정부는 건보 재정적 측면에서 고민이 많겠지만 현실적인 교육수가를 만들어 대응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당뇨병 환자에게 인슐린 교육 및 관리가 진행되려면 경구용 약제 처방 대비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별도의 수가도 책정되지 않은 상태라 일선 의원급에서 이를 배제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이다. 

    원 이사장은 “SGLT-2 억제제 병용요법 급여화라는 변화가 발생하는 시기인 만큼 당뇨 치료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인슐린 처방률 문제와 수가 신설에 대한 논의도 동시에 이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