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전문가 83% "동결" 물가 진정 기조… 환율·외환유출 잠잠美도 긴축완화 조짐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0%에서 또 한 번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사실상 한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마무리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의 금리인상 흐름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데다 한미 금리 격차에 따른 자본유출도 거의 없어 한은이 대내 경기와 물가 여건에 집중해 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상황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시장에선 한은의 금리 동결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가 최근 발표한 '5월 채권시장지표'에 따르면 응답자의 83%가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한은은 급격한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제로금리 수준이었던 금리를 지난 1월까지 대폭 끌어올렸으나 지난 2월부터는 경기둔화 우려, 미국의 긴축 둔화 방향 등에 발맞춰 처음으로 동결했다.불과 지난달까지만 해도 최소 한 차례 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전망이 우세했다.하지만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에 따라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정책이 새국면을 맞은 데다 국내 물가 역시 완연한 하락세를 보이며 한은은 금리 인상 부담을 덜어냈다.국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2%로 ▲1월 5.2% ▲2월 4.8%에 이어 완연한 하락곡선을 그리고 있다.앞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3월 이후 물가 상승률이 4.5% 이하로 하락한 뒤 연말에는 3%대 초반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한 것에 부합하는 수치다.미국의 금리인상 흐름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시장에선 연준이 오는 5월 마지막 베이비스텝(0.25%p) 인상 이후 동결 기조로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뒤따른다.한미 금리차에 대한 부담도 덜었다. 현재 미국(4.75%~5.00%)과 한국 간의 금리 격차는 1.50%이나 자본유출은 우려했던 만큼 크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달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260억7000만달러로 한달 전과 비교해 7억8000만달러 늘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안정적인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하지만 양국 간 금리 격차는 글로벌 자금이 금리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원화 약세 요인이 될 수 있다.변수는 국제유가다. 최근 산유국 감산에 국제유가가 들썩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고 있어 향후 통화정책 방향의 불확실성을 띤 요소가 될 전망이다.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월 금통위 당시 금통위원들이 우려한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유지 혹은 오히려 축소됐다"면서 "한은 입장에서는 대내경기, 물가 여건에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이 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4월 금통위는 만장일치로 동결할 것"이라 전망했다.키움증권 안예하 연구원 역시 "미 연준의 긴축 경계감이 약화된 만큼 한은의 추가 인상부담도 낮아졌다"면서 "국내 경기 둔화 및 대외 금융 불안을 고려할 때 한은의 금리 동결이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