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치료 후 죽상동맥경화증 위험평가 가능
  • ▲ ⓒ한국원자력의학원
    ▲ ⓒ한국원자력의학원
    혈액 나노 입자를 기반으로 방사선 노출에 따른 심혈관 질환을 예측하는 기전이 확보됐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염증이나 암 발생에 관여하는 혈액 내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해 방사선 노출에 의한 죽상동맥경화증 발생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신규 바이오마커를 발굴했다고 11일 밝혔다. 

    방사선은 선량이나 노출 상태에 따라 암을 비롯해 심혈관 질환, 백내장, 신경계 질환 발병률을 높인다. 

    특히 방사선 치료를 받은 일부 암 환자의 경우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이 생길 위험이 커져 방사선 치료 후 심혈관 질환 발병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먼저 정상인의 혈액과 실험쥐에 20∼5000mGy(밀리그레이) 방사선을 쪼인 후 혈관내부 표면을 감싸고 있는 혈관내피세포와 염증을 일으키는 면역세포가 방사선에 서로 반응해 세포외소포체를 분비하는 것을 규명했다.

    쉽게 죽상동맥경화증에 걸리도록 조작한 실험쥐를 대상으로 100mGy(밀리그레이) 이상의 방사선 선량에 따라 비례해 세포외소포체 특정 성분(miR-126-5p)이 증가하여 죽상동맥경화증 발생 위험이 커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방사선 선량에 비례해 분비된 세포외소포체의 특정 성분(miR-126-5p)이 혈관내피세포와 면역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 염증이 일어나는 초기 과정을 밝혔다. 방사선 노출에 의한 죽상동맥경화증 발생 위험을 새로운 지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성기문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혈액의 나노입자체 성분을 이용해 방사선 피폭 흡수선량을 추정하고 방사선 노출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바이오마커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며 "실제 환자 대상 후속 검증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건강영향조사' 사업과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분야기초연구 개인연구사업(중견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