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부터 kWh당 8원 인상… 원가 부담에 실적 악화 불가피시멘트업계 “유연탄과 달리 시설 가동 위해 절대량 사용해야”원가 부담 따른 비용 인상 불가피… 소비자 피해까지 예상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전기요금이 또 인상되면서 시멘트업계와 레미콘업계의 도미노 타격이 우려된다. 업계에서는 원가 부담으로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난처함을 토로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부터 산업용 전기요금이 kWh당 8원 오르면서 시멘트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한 시멘트업체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전기요금이 세 차례 오르면서 원가 부담이 크게 늘었다”면서 “유연탄 가격은 생산량에 따라 수급이 달라지지만 전력은 시설 가동을 위해 사용해야 하는 절대량이 있어 비용 인상에 따른 부담이 더 크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올해 1월 인상분에도 유연탄가격 상승분 중 절반 가량이 미반영됐던 점, 하반기 전기요금 인상이 유력시 되는 점 등을 감안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면서 “원가인상분을 어느 정도 감내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지만 이를 업계 자체적으로 모두 감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하소연 했다. 

    지난해 여름 이후 이어진 세 차례의 전기료 인상으로 시멘트업계의 고정비 부담이 늘어난 것이다. 앞서 정부는 누적된 에너지 공기업의 대규모 적자를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작년 7월(kWh당 5원), 10월(7.4원), 1월(13.1원) 등으로 kWh당 총 25.5원의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이번 5월 인상까지 더하면 1년이 채 안되는 기간동안 kWh당 30원 넘게 오른 셈이다. 

    전기요금은 시멘트 제조원가의 20~25%를 차지, 유연탄(30%)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시멘트 원료를 녹이는 소성로(킬른)는 생산량과 관계없이 24시간 가동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료 인상의 여파가 클 수밖에 없다. 

    실제 올해 1분기 쌍용C&E는 적자전환의 원인으로 전기요금 급등 영향을 꼽기도 했다. 쌍용C&E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914억원, 영업손실 1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30.6% 늘었지만 영업익은 적자로 전환했다. 같은기간 순손실도 67% 늘어난 25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두 차례 판매가격 인상효과와 내수 출하량 증가 덕에 매출은 늘었지만 전기요금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이 가중된 영향이다. 전기료 인상으로 1분기 매출에서 차지하는 전기요금 비중은 작년 12월 대비 11%포인트 늘어났다. 

    정부의 하반기 전기요금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멘트업계는 가격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 앞서 시멘트업계는 지난해 2월 톤(t)당 7만8800원(7개사 평균 판매가격)이었던 시멘트 판매가격을 9만2400원으로, 11월에는 10만5400원으로 인상한 바 있다. 

    그러나 여기에 안전운임제·유가 상승에 따른 물류비 증가 등의 요인까지 더해지면서 시멘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일각에서는 전기요금 인상분과 안전운임제, 물류비, 도급비 상승분 등을 더해 하반기 톤당 1만원 이상 오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두만 쌍용C&E 최고재무책임자(CFO)도 실적발표에서 “정부의 전기요금 발표가 급격하게 인상된다면 올해 중에 시멘트 가격인상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작년 가격 인상분에는 전력비 인상분이 포함되지 않아 전기료 인상이 판매가에 전가될 수밖에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시멘트업계가 가격 인상을 검토하면서 레미콘업계의 연쇄 타격도 우려된다. 레미콘은 시멘트가 주원료로, 시멘트 제품 가격 인상에 직격타를 입을 수밖에 없다. 이에 시멘트업계와 레미콘업계의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작년 8월 시멘트 업계의 가격 인상 움직임에 중소레미콘 업계는 강하게 반말하며 셧다운을 선언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에는 어느 정도 동의하지만 이로 인한 제품 가격 인상 등은 결국 소비자에게 이어질 수 밖에 없다”면서 “요금 인상 폭과 속도에 조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