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C&E 14.1%, 성신양회 14.3% 인상 공표"전기요금 인상에 환경설비 투자 확대 영향"업계 "친환경 투자 확대에 재무악영향 우려"
-
오는 7월부터 시멘트업계의 도미노 가격 인상이 현실화할 전망이다. 쌍용C&E와 성신양회가 가격 인상을 공식화한 가운데 나머지 시멘트업체들도 가격 인상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서다.28일 업계에 따르면 내달 1일부터 쌍용E&C와 성신양회는 시멘트 가격 인상을 단행한다. 양사는 국내 시멘트 유통 물량의 35%를 차지한다.우선 쌍용E&C는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톤(t)당 10만4800원에서 11만9600원으로 14.1% 인상한다. 성신양회도 10만5000원에서 12만원으로 14.3% 올린다.쌍용C&E와 성신양회의 가격 인상은 지난해 유연탄 가격 상승분을 다 반영하지 못한 가운데 전기요금 인상과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설비투자 비용 증가에 따른 것이다. 쌍용C&E와 성신양회 측은 “시멘트 원가의 20~25%를 차지하는 전기요금이 올해 1분기 9.5% 오른 데 이어 2분기도 5.3% 올라 원가 인상분을 제품가격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양사는 모두 지난 1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쌍용C&E는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6% 증가한 4914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손실은 17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성신양회도 1분기 매출이 23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했으나 영업손실을 49억원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업계에서는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삼표시멘트, 한라시멘트 등 나머지 회사들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상당수 회사들이 이미 내부적으로 가격 인상 검토를 마친 상태다. 생산 기술이 원가 구조가 비슷한 만큼 가격 인상의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전기요금 인상과 물류비 인상, 친환경을 위한 설비 확충으로 인해 가격 인상 필요성에 대해서는 업계가 모두 공감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아직 공식적으로 공문을 보내거나 한 것은 아니지만 내부적으로 검토는 마쳤다”면서 “전후방 사업 영향과 정부 중재가 있다보니 섣불리 나설수가 없어 인상 시기를 조절하고 있다”고 전했다.시멘트업계는 전기요금 인상과 물류비 상승, 환경설비 투자 증가에 따라 기업 존폐가 우려되는 심각한 상황이라 주장하고 있다. 실제 최근 고려시멘트는 원가 상승에 따른 경영악화와 환경규제라는 이중고를 이기지 못해 예정보다 일찍 전남 장성 공장을 폐쇄키로 결정했다. 당초 내달 중순께 중단할 예정이었지만 경영 악화를 견디지 못한 탓이다. 지난해 고려시멘트는 매출액 699억원에 영업손실 126억원으로 적자를 시현했다.특히 시멘트업계는 7년간 가격 동결을 해온 점을 들어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읍소하고 있다. 지난해 유연탄 가격 인상에 따라 두 차례 가격을 인상했지만, 전후방 산업의 여파를 우려해 인상분을 판매가격에 전부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이 같은 상황에서 친환경 기조가 강화로 시멘트업계는 2019년 이후 올해까지 관련 설비에만 2조원이 넘는 투자를 단행했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국내 시멘트업계는 지난 5년간 설비투자에만 2조315억원을 투입했다. 최근 강화된 환경규제(공해, 환경·안전) 대응, 원가절감(자동화, 에너지절약) 향상으로 구성된 설비 합리화를 위한 투자가 1조7745억원으로 전체의 87.3%를 차지했다.문제는 향후 3~4년간 지속적인 투자증액이 불가피해 원가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을 위해 정부에서 권고하고 있는 선택적촉매환원설비(SCR) 도입에만 9000억원가량이 투입돼야 할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이에 제품 가격을 인상하더라도 큰 이익을 내기 힘든 상황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업계 관계자 “매출증가에도 불구하고 원가부담이 늘어나면서 순이익이 급락했고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인 건설경기 하락도 예상돼 주요 업체들은 이미 비상경영에 돌입했다”면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대부분의 친환경 설비 투자금액을 외부 차입에 의존해야 해 재무구조 악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