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후진국 벗어나려면 '진단 지연' 줄여야입원 전후 흉부 방사선 검사로 확인 국립중앙의료원, 결핵환자 원내 전파 현황 보고서 발간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이달 말일부로 결핵(2등급)이 코로나19(4등급)보다 높은 등급의 관리가 필요한 감염병이 되는 가운데 여전히 병원 내 감염전파가 이뤄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결핵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한 정부 차원의 다각적 목표가 수행 중이나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의미다. 
     
    최근 국립중앙의료원(NMC)은 2018~2021년 사이 진단이 지연된 결핵 환자 40명 중 25명을 대상으로 원내 전파 양상을 분석한 결과, 총 157건의 노출사건이 있었다는 내부 보고서를 발간했다. 

    환자 대부분은 고령(평균 연령, 63세) 남성(88.0%)으로 노출 기간 중앙값은 4일(2~12일)로 조사됐다.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환자(64.0%)가 주를 이뤘다. 증상은 비정상적인 가래(44.0%), 발열(32.0%), 호흡곤란(28.0%)이었다. 5명(20.0%)의 환자는 무증상으로 분류됐다. 

    1명의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는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됐다. 12명(48.0%)의 환자는 폐렴을 시사하는 방사선학적 특징을 보였고 4명(28.0%)은 활동성 결핵의 전형적인 소견을 보였으며 6명(24.0%)은 과거 결핵 소견이 있었다.
     
    호흡기내과 또는 감염내과에 입원한 환자(28.0%)와 비교해 다른 과에 입원한 환자(72.0%)가 두배 이상 많았다. 

    이러한 원내 환경 탓에 25건의 결핵 격리 지연 사례에서 의료진을 포함 157건의 노출사건이 발생했다. 

    보고서는 "병원 내 전파를 피하기 위해 결핵 부담이 높은 환경에서는 입원 전 또는 입원 직후에 일상적인 흉부 방사선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이 비정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을 보였음에도 임상의에 의해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거나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 

    결핵은 비정형 흉부 방사선 사진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호흡기내과 또는 감염내과 이외의 과에 입원한 환자는 격리 지연에 더 취약한 실정임이 드러났다. 

    보고서는 "결핵 발병률이 높은 병원의 경우 결핵을 더 적극적으로 의심하고 추가 검사를 고
    려해야 한다"며 "방사선 검사 결과의 누락으로 인한 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이상 검사 결과 통보와 같은 제도적 개선이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질병청은 향후 5년간 종합계획을 통해 '10만명당 결핵 발생률 20명 이하'라는 목표를 설정했고 결핵 검진과 치료를 강화하고 노인과 노숙인 등 결핵 취약계층을 찾아가는 검진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하지만 원내 감염 등 문제도 풀리지 않은 시점이라 적극적 검사를 통한 격리체계 구축 등 기본적 대응부터 견고히 해야 한다는 전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