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실질임금 전년比 1.1% 감소… 1~7월 누계도 1.5% 줄어일용직 임금총액 2개월·근로시간 14개월 연속으로 감소세
-
지난 7월에도 실질임금이 하락한 가운데 임시·일용직이 경기 둔화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수개월 연속으로 월평균 임금총액과 총 근로시간이 줄어드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꾸준한 오름세를 보이는 상용직 근로자와 대비된다.2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8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기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96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391만9000원)과 비교해 4만3000원(1.1%) 상승했다. 임금총액은 올 1월(-0.6%) 소폭 감소한 이후 7월까지 6개월 연속으로 올랐다.상용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421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6만 원(1.4%) 상승했다. 임금 중 정액급여는 345만1000원, 초과급여는 22만1000원으로 각각 3.5%와 2.7% 올랐다. 반면 특별급여는 54만1000원으로 10.5% 하락했다.임시·일용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174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175만9000원)에 비해 1만4000원(0.8%) 감소했다. 앞선 6월(-0.2%)보다 감소폭이 커졌다.
-
6개월 연속 이어진 월평균 임금총액의 상승세와 달리 실질임금은 5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는 중이다. 실질임금은 물가지수 등을 반영한 임금의 실질적인 가치를 말한다. 7월 기준 실질임금은 356만4000원으로 1년 전(360만4000원)보다 4만 원(1.1%) 감소했다. 실질임금은 올 2월(0.7%) 이후 △3월 -2.6% △4월 -0.2% △5월 -0.2% △6월 -0.6% 등 5개월 연속 내림세다. 감소 폭은 6월보다 7월에 0.5%포인트(p) 더 커졌다.정향숙 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감소 폭이 7월에 더 커진 것은 명목임금 상승률이 6월에는 2.0%였던 반면 7월에는 1.1%로 낮아진 영향이 있다. 명목임금 상승률이 1.1%로 낮아진 이유는 일상회복에 따른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증가 영향"이라고 설명했다.올 1월부터 7월까지 누계로 본 실질임금도 마이너스를 보였다. 1~7월 누계 실질임금은 355만9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61만2000원)보다 5만3000원(1.5%) 하락했다. 반면 1~7월의 누계 명목임금은 394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85만7000원)에 비해 8만5000원(2.2%) 상승했다.총 근로시간도 줄었다. 7월 기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 근로시간은 158.9시간으로 지난해 같은 달(161.7시간)보다 2.8시간 감소했다. 월력상 근로 일수는 21일로 같았다. 숙박·음식점업과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등에서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늘어난 것이 근로시간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일자리 증가는 제한적인 데 비해 일하려는 임시·일용직이 늘면서 근로시간과 명목임금 상승률이 하락했다는 얘기다.상용직 근로자는 소정실근로(-1.6시간)와 초과근로(-0.1시간)가 모두 줄면서 166.6시간을 기록했다. 지난해 7월(168.4시간)과 비교해 1.8시간 감소한 수치다. 정 과장은 "상용직 근로자는 월력상 근로 일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번에 근로 일수가 같은 데도 근로시간이 준 것은 숙박·음식점업에서 근로시간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부연했다.같은 달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90.4시간으로 1년 전 99.7시간과 비교해 9.3시간 하락했다. 정 과장은 "임시·일용직 근로자 중 숙박·음식점업과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은 상대적으로 근로시간이 더 짧다. 해당 업계에서 근로자가 증가한 사실이 근로시간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고 첨언했다.
-
노동시장의 부진한 흐름은 임시·일용직 근로자에게 상대적으로 강한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서민경제를 더 얼어붙게 만들고 있다. 실질임금의 감소도 달갑잖은데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임금총액은 2개월째, 근로시간은 14개월째 감소하는 중이다.임시·일용직 근로자의 임금총액은 올 4월에 3.4% 줄면서 2021년 7월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4월 임금총액은 170만3000원으로 1년 전(176만4000원)보다 6만1000원 줄었다. 5월(1.4%) 들어 반등했지만, 6월(-0.2%)과 7월(-0.8%) 연속으로 하락했다.반대로 상용직 근로자의 임금총액은 올 1월(-0.6%) 이후 5개월 연속 상승곡선을 그렸다. 2월의 증가 폭은 5.6%로 지난해 3월(6.4%) 이래 가장 크게 뛰어올랐다. 이어 3~7월에도 증가세를 보였다.임시·일용직 근로자의 근로시간은 지난해 6월부터 올 7월까지 14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6~12월에는 최대 감소 폭이 -2.6시간 수준으로 완만했지만, 올해 들어 감소 폭이 3배 이상 커졌다. 3시간대 감소를 기록한 2·3월을 제외하고 △1월 -9.5시간 △4월 -11.2시간 △5월 -9.3시간 △6월 -10.4시간 △7월 -9.3시간 등 연달아 큰 폭으로 줄었다.반면 상용직 근로자의 근로시간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지만, 증가 폭은 크고 감소 폭은 적어 무난한 수준이다. 올해의 경우 2월(9.2시간)에 가장 크게 증가하고 4월(-4.2시간)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감소세가 시작된 지난해 6월부터 올 7월까지 14개월간을 살펴보면, 간헐적으로 5개월 동안 감소하고 9개월간은 감소했다. 다만 감소한 9개월 동안에도 최대 -7시간대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