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부족 심화… 부문별 최저 순위엔 '민간투자'
-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12일 '글로벌 AI 지수'를 바탕으로 국내 AI 산업을 분석한 결과 특허(개발)·정책(정부전략) 부문은 우수하지만 인재 확보나 민간투자 등의 부문은 다소 부진하다고 평가했다.영국 토터스인텔리전스가 발표하는 글로벌 AI 지수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AI 산업 수준은 62개국 중 종합순위 6위를 차지했다.글로벌 AI 지수가 높은 국가는 미국과 중국으로 나타났다.미국은 AI 인재 확보와 인프라 구축 등 총 5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종합순위 1위에 등극했다. 중국은 인재확보와 인프라 구축, 특허(개발) 등에서 2위를 차지하며 종합 2위를 차지했다.미국과 중국의 양강체제가 뚜렷한 가운데 국내 AI 산업에서 가장 부진한 부문은 AI 관련 민간투자인 것으로 드러났다.AI 기업 수 및 투자 규모 등을 의미하는 민간투자 부문에서 한국은 18위를 차지하며 총 7개 부문 중 최저 순위를 기록했다.민간투자 부문의 세부 항목인 AI 관련 상장기업 수에서 한국은 총 6개 기업으로 11위를 차지해 미국(172개)과 중국(161개)에 크게 밀렸다.AI 설명요구권 등 관련 정책 역시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AI 산업 육성의 기반이 될 'AI 기본법'의 조속한 입법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AI 설명요구권이란 서비스 이용자가 AI의 의사결정 원리(알고리즘)에 대해 의심될 경우, 서비스 제공자에게 이에 대한 설명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 등을 말한다.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및 엔지니어 등 인재 확보 부문 역시 20위를 차지하면서 인공지능 관련 데이터분석 인재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AI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부족한 인재와 데이터 활용 전반의 규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업계에서는 AI 산업은 제조업·서비스업 등 다른 산업과 연관된 파급효과가 커서 미·중과의 기술격차를 줄이고 국가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내 인재 양성은 물론 비자 규제 완화 등을 통해 해외 고급인재도 적극 영입해 인력 부족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며 "데이터 정보 활용을 위해 개인정보보호법과 신용정보법의 규제완화를 통한 민간투자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