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상황 대응능력 미지수… 개선 필요질병청, 요양병원 감염관리 첫 실태조사 결과 공개신속대응팀 구성·감염관리 계획 등 지표는 '긍정적'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감염병 취약지로 꼽히는 요양병원이 견고한 감염관리 체계를 만들기 위해 갈 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를 겪은 이후에도 환기시설을 갖춘 곳은 1/3 수준에 머물렀고 유행을 대비한 모의훈련 실시 비율도 낮았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4월 전국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감염관리 첫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요양병원 94.7%는 지난해 감염병 유행을 경험했고 99.1%는 코로나19 유행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비말전파 차단을 위해 필요한 기계 환기시스템을 갖춘 요양병원은 65.7%로 나타났다. 기계환기와 자연환기를 병행 시행하는 경우는 65%, 기계 가동 없이 자연환기만 실시하는 경우가 34.2%로 나타났다. 

    자연환기를 실시하는 경우 74.5%는 하루 4회 이상 환기를 하고 있지만 25.5%는 하루 3회 이하였다.

    독립된 건물을 요양병원 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81.7%였다. 입원실 모든 병상에서 침상 간 최소간격이 유지되는 경우는 89.9%, 요양병원 내에서 오염된 기구의 세척장소를 진료공간이나 청결공간과 분리한 사례는 61.6%였다.

    팬데믹 이후 달라진 점은 요양병원 85.5%가 집단감염 발생 상황에 대비해 신속대응팀을 운영하고 있었다. 매년 감염관리 업무 계획을 수립하는 요양병원은 96%였다. 하지만 모의훈련을 실시한 경우는 37.2%에 불과해 실효성이 있을지는 미지수다.

    특히 감염관리실에 전담인력을 배치한 요양병원은 3.1% 수준으로 매우 낮았다. 감염관리실 의사의 감염관리 근무경력은 평균 2~3년 수준으로 조사됐다.

    요양병원 94.7%는 지난해 감염병 유행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99.1%는 코로나19 유행이었다. 이에 대비해 요양병원 85.5%는 신속대응팀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한 경우는 37.2%로 낮은 편이었다.

    요양병원은 코로나19 대응에 도움이 된 감염관리 지원책으로 감염관리교육과 감염관리지침을 꼽았다. 향후 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감염관리 수가 지원과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감염병 발생 시 집단발생으로 이어질 위험이 큰 만큼 관련 부처와 함께 감염병 대응을 위한 법적·제도적 미비점을 보완하고 의료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강화하는 등 감염관리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