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兆+α 투자 로봇산업 육성… 국내시장 20兆·수출 5兆 목표제조·농업·서비스·국방·의료·돌봄 다양한 영역에 확대 보급대구에 '로봇 테스트필드' 조성… 산업부, 첨단로봇산업 전략 발표
-
앞으로 50년 뒤 생산가능인구가 현재의 절반 밑으로 떨어질 거라는 절망적인 전망이 나온 가운데 정부가 다양한 산업·사회 영역에 100만 '로봇'을 투입하겠다는 구상을 내놔 눈길을 끈다.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만도넥스트M 사옥에서 로봇 제조·부품기업과 로봇산업협회 등 관련 단체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첨단로봇 산업전략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방문규 장관은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이하 로봇 전략)을 발표했다.산업부는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면서 성장잠재력이 큰 로봇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산업부는 K-로봇경제 실현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민·관이 3조 원 이상을 투자해 100만 대 이상의 로봇을 보급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이를 통해 지난 2021년 기준 5조6000억 원 수준인 국내 로봇 시장 규모를 20조 원 이상으로 키운다는 목표를 제시했다.먼저 감속기·센서 등 5개 하드웨어 기술과 자율조작·이동 등 3개 소프트웨어 기술 등 8대 핵심기술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으로 내년 상반기에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이다.매출액 1000억 원 이상의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을 현재 5개 사에서 30개 이상으로 육성한다. 미래차와 드론 등 모빌리티 산업과 연계해 첨단로봇 산업을 이끌 전문인력도 1만5000명 이상 양성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로봇 수출 규모를 2021년 1조1000억 원에서 2030년 5조 원으로 늘린다는 목표다.2021년 현재 44.4% 수준인 부품 국산화율도 2030년까지 80%로 끌어올린다.지능형로봇법을 전면 손질해 산업을 지원하는 한편 로봇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실증할 수 있는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도 구축한다. 내년부터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20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대구 달성군 16만6973㎡ 대지에 실제 환경과 비슷한 실험도시를 건립한다.
-
정부는 제조업과 농업, 택배 등 물류, 음식 서빙 등 소상공인, 산업안전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 총 68만 대의 로봇을 확대 보급하는 그림도 제시했다. 미래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응해 로봇을 생산성을 높이고 사고율을 낮추는 데 활용하겠다는 것이다.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 자료를 보면 생산가능인구는 지난해 3674만 명에서 앞으로 10년간 332만 명 줄어 오는 2072년에는 1658만 명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같은 기간 71.1%에서 45.8%로 곤두박질칠 것으로 전망됐다.산업용에 비해 시장 형성이 초기 단계인 사회 분야에도 32만 대의 로봇을 보급한다. 군에서 급식을 돕는 취사병 로봇, 감시·정찰 로봇, 경찰의 일상 순찰을 지원하는 군·경 로봇 등이 투입된다.이 밖에도 근력과 대화, 정확성·정밀성이 주로 요구되는 돌봄·의료 분야에 고령층 인공지능(AI) 반려 로봇, 웨어러블 의료 로봇 등의 보급을 추진한다.방 장관은 "로봇산업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신성장동력으로서 'K-로봇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투자 확대와 해외 신시장 창출 등을 위해 범정부적으로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