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관련 리스크, 증권업계 시장 전반 확산 모양새대출금 회수 가능성 하락…PF 부실 대응 자금력 부족 우려 SK‧다올투자증권 등 중소형 증권사 재무 안전성 관리 거
  • ▲ 여의도 증권가 ⓒ정상윤 기자
    ▲ 여의도 증권가 ⓒ정상윤 기자
    태영건설발(發) 사태로 증권사들의 신용도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불안정에 따른 중소형 증권사의 손실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태영건설 사태와 관련해 "증권업의 경우 건설사 재무안정성 저하 등으로 부동산 PF 손실이 우려된다"라며 "기업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신규 투자 유치도 어려워지고 채무보증 관련 수수료 수익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동안 국내 부동산 PF 시장은 만기 연장으로 부실화를 막았지만, 누적된 비용으로 사업성이 저하된 브릿지론은 정리 절차에 돌입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특히 브릿지론의 선별적 만기 연장으로 기조가 바뀔 경우 중·후순위 포지션 비중이 높은 중소형 증권사 손실이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신평은 이와 함께 올해 증권업 등의 산업 전망은 '비우호적', 신용도 전망은 '부정적'으로 제시했다.

    증권사 중에선 부동산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큰 중소형 증권사의 신용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한신평에 따르면 자기자본 대비 브릿지론과 중‧후순위 본 PF, 해외부동산 등 상대적으로 위험이 큰 부동산 금융 부담 수준은 대형사 29.2%, 중형사 43.2%, 소형사 34.0% 등이었다.

    대표적으로 SK증권과 다올투자증권의 수익성과 재무 안전성이 부동산 금융 부실화로 저하됐다고 평가했다. 또 이들 증권사에 대한 이익 구조 개선 등 재무 안전성 관리 동향을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밝혔다.

    SK증권과 다올투자증권의 경우 앞서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도 신용등급 모니터링 대상에 오른 바 있다. 이들 증권사의 신용등급은 A등급, 등급 전망은 각각 부정적, 안정적으로 평가됐다.

    실제 SK증권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2831억원 규모의 우발채무 부담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자기자본 대비 44.8% 수준으로 타 증권사 대비 높지 않지만, 주로 중·후순위 부동산 금융으로 구성돼 최근 부동산 시장을 고려할 때 회수 불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같은 기간 다올투자증권 또한 우발채 규모가 5554억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74.4%에 달한다. 부동산 PF 관련 우발채무 및 기업여신 규모는 4829억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64.7%를 차지했다. 특히 중·후순위 비중(90% 이상)과 브릿지론 비중(30% 내외)을 고려할 때 위험도가 높은 수준이다.

    노재웅 한신평 금융·구조화평가본부 실장은 "SK증권은 비용 구조상 높은 고정비 부담과 주요 사업 기반 업황 저하에 따라 수익성이 저조하다"라며 "중‧후순위 부동산 금융 및 자회사 지원에 따른 재무안정성이 저하됐다"라고 평가했다.

    노 실장은 이어 "구조조정을 통한 비용구조 개선, 부동산 금융, 장기성 투자(PEF‧투자조합) 등 위험 익스포져 부담 및 재무안정성 관리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다올투자증권의 경우 주요 사업 기반 위축 및 경쟁력 저하, 부동산 금융 부실화로 인한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 저하, 계열사 재무부담 리스크 등이 있다"라며 "부동산 금융 건전성 저하와 계열사 지원 부담에 대응한 재무안정성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다만 정부 차원의 관리 감독, 지원 등으로 PF 시장의 전체적인 붕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했다. 사업성 관점에서 선별적, 순차적으로 정리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신평은 "연간 이익 규모, 충당금 설정액, 자본 적정성 등을 고려할 때 업계 전반의 대응력은 존재한다"라면서도 "브릿지론 등 만기도래에 따라 일부 중소형 증권사의 신용도 하방 압력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미국·유럽 지역 오피스 등 해외 대체 투자의 손실 반영이 본격화되면 중대형 증권사 수익성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라며 "이에 더해 미국‧한국 간 금리 차이로 국내 기준금리 하향 시점의 불확실성이 높고 금융상품 불완전 판매 논란 등으로 위험자산 투자 심리 개선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