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19조원 불가리아 대형원전 공사 수주 코앞체코·폴란드 원전도 수주 가능성…동유럽 진출 가속화한화 참여 이라크 비스마야 재개…후속사업 발주 기대중동정세 안정 관건…"단순도급→투자개발 전환 필요"
  • ▲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 단지. ⓒ코즐로두이 원전 홈페이지
    ▲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 단지. ⓒ코즐로두이 원전 홈페이지
    올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시장 진출이 본궤도에 올랐다. 그동안 잠잠했던 원자력발전 부문에서 현대건설이 '잭팟'을 터뜨린 가운데, 이라크 신도시 개발사업에도 탄력이 붙으며 해외건설 수주 400억달러 목표 달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해외시장에서 가장 큰 실적이 기대되는 부문은 원전이다. 탄소중립 기조 아래 전세계적으로 원전 수요가 급증했고 정부도 '원전 재도약'을 목표로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어서다.

    첫 스타트는 현대건설이 끊었다. 현대건설은 지난 25일 총사업비 18조7000억원 규모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전공사 우선협상자로 선정됐다. 2009년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바라카 원전이후 15년만에 거둔 성과다.

    본 공사는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 북쪽 200㎞ 떨어진 코즐로두이 원전단지내에 2200㎿급 원전 2기를 추가로 신설하는 공사다.

    최종계약자 선정은 발주처인 불가리아원자력공사(KNPP NB)와 협상을 완료하는 오는 4월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선 이번 우선협상자 선정을 시작으로 국내 건설사의 유럽 대형원전 및 소형모듈원전(SMR) 시장 진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불가리아에 이어 수주가 기대되는 곳은 체코다.

    대우건설은 한국수력원자력 등과 함께 '팀코리아'에 참여해 체코 원전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팀코리아는 현재 체코 두코바니 지역에 1200㎿ 원전 1기를 건설하는 사업에 최종입찰서를 제출한 상태다. 최종낙찰자 선정은 6월로 예정됐다.

    수주 전망은 긍정적이다.

    최근 체코정부가 원전 건설을 1기에서 4기로 늘리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수정하면서 경쟁사인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조건 미달로 배제한 까닭이다. 이로써 입찰 대진표는 팀코리아와 프랑스 전력공사간 2파전으로 좁혀졌다.

    폴란드도 원전부문 새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수원은 2022년 은 폴란드정부와 협력의향서를 체결하고 코닌 원전사업 등 참여를 추진중이다.

    이 사업은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240㎞ 떨어진 코닌시 퐁트누프 지역에 신규 원전 2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총사업비는 15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폴란드·체코·루마니아 등 동유럽 지역은 원전부문 추가발주가 기대되는 지역인 만큼 초기 시장진입이 중요하다"며 "단기간에 현금으로 공사비를 받기는 어려워 당장 수익성을 기대하긴 어렵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수주인프라를 닦아 놓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현장. ⓒ한화 건설부문
    ▲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현장. ⓒ한화 건설부문
    답보 상태에 머물렀던 이라크 신도시 개발사업도 다시 활기를 띨 전망이다.

    건설업계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한화 건설부문이 참여중인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조성사업이 16개월만에 재개됐다.

    본 사업은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 동남측 일대에 주택 10만가구와 사회기반시설(SOC)을 짓는 것으로 총사업비는 14조원 규모다.

    발주처인 국가투자위원회(NIC)가 한화 건설부문에 공사비 6억2900만달러(8400억원)를 지급하지 않아 2022년 10월이후 공사가 중단됐다.

    그러던중 NIC가 미수금 2억3000만달러(약3000억원)를 지급하면서 공사가 부분재개된 것이다.

    국토부는 비스마야외 15개 후속 신도시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 기업 참여를 지원할 계획이다.

    건설업계에선 해외수주 400억달러 목표를 달성하려면 사우디아라비아 '네옴' 등 중동지역 메가 프로젝트 수주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형건설 B사 관계자는 "이라크사업이 재개된 것은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중동정세가 불안정해 산유국들 발주에 탄력이 붙지 않고 있다"며 "발주가 다시 재개될 때 선제적으로 치고 들어갈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도급 위주인 해외사업 구조를 투자개발형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산유국들이 유가하락 대비와 재정 운용 탄력성 확보를 위해 민관협력사업(PPP) 발주 방식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라며 "PPP 등 투자개발사업 확대를 위한 정부와 기업의 역량 결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