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교수 비대위, 오는 15일까지 사직서 제출 여부 확정政, 2000명 증원 원칙… 1년 유예 등 제안 거부전공의 이탈 한 달되는 '18일' 이전 봉합이 관건
-
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이 의료대란을 해결할 중재자로 떠오를 것이라는 기대감과 달리 전공의를 지키려 사직서를 손에 쥐고 있다. 이미 사직 결의는 확산하고 있으며 봉합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정부는 의사 확충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거세 '2000명 증원'에 협상은 없다고 했고 '1년 유예' 역시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강대강 대치 국면 속 "살려달라"는 환자들의 불만으로 공포로 바뀌고 있다.13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19개 의대 교수는 전날 밤 회의를 열어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오는 15일까지 사직서 제출 여부에 대한 논의를 마친다.서울대·연세대·울산대·가톨릭대·제주대·원광대·인제대·한림대·아주대·단국대·경상대·충북대·한양대·대구가톨릭대·부산대·충남대·건국대·강원대·계명대 의대 교수들이 참여한다. 이날 전북의대 교수들도 비대위를 꾸린 것으로 확인됐다.전국 주요 수련병원 교수들이 동시에 사직 결의를 한다는 것은 사실상 의료의 붕괴를 의미한다. 교수들 역시 이를 잘 알기에 집단행동으로 이어지진 않는다는 것이 병원계 안팎이 분석이지만 확답은 어렵다.의료계 고위 관계자는 "전공의 이탈 한 달째가 되는 오는 18일을 기점으로 사직서를 내는 교수들이 있겠지만, 애초에 로컬로 이동을 원하거나 필수의료의 한계로 인해 병원을 떠나려고 판단한 이들부터 나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그는 "사직 결의 자체를 중재의 역할로 보는 시각도 있다. 대치 국면을 풀기 위한 정부 압박용 카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그러나 현 상황에서는 오히려 국민적 공분을 가중시키는 형태로 전환돼 우려스럽다"고 밝혔다.정부도 의료계도 대화의 채널을 열자고 강조하고 있지만 제자리걸음이다. 전공의 이탈 초기에 강경 대응을 하지 않았던 교수들이 중재자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으나 사직서를 쥔 지금은 그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이날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제자들의 불이익을 막기 위해 사직한다는 것은 사직의 이유가 될 수 없다"며 "환자 곁을 떠나는 것이 제자를 지키는 것이라는 주장은 국민들이 납득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그는 "어떠한 경우에도 환자가 죽음에 이르도록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의사로서의 가장 기본적인 직업윤리"라면서 "교수의 사직은 이탈한 전공의가 돌아올 길이 없어질 뿐 아니라 지금 현장에서 본분을 다하는 전공의들의 갈 곳도 없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좀체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은 가운데 파국의 시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오는 18일 전공의가 단체로 사직서를 내고 떠난지 한 달이 되는 시점을 계기로 큰 변화가 예상된다.정부는 각종 대책을 내놓으며 의료전달체계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단숨에 빠져나간 인력난을 메꾸기엔 한계가 있다. 사직서를 쥔 교수들의 결정이 어떻게 나올지 환자들은 두려움의 나날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