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안전 실행 프레임워크 내달 공개 예정“소수에 의한 AI 독점 경계해야”
  • ▲ ⓒ네이버
    ▲ ⓒ네이버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AI 서울 정상회의’에 참가해 내달 AI 안전 프레임워크를 공개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이 GIO는 지난 21일 AI 서울 정상회의 세션에 참가해 “다양성을 통해 연결이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술과 서비스를 실현해왔다”며 “AI 윤리 준칙 발표에 이어 구체화된 AI 안전 실행 프레임워크를 다음 달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각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존중하고 이해하며 책임감 있는 다양한 AI 모델들이 나와 많은 글로벌 국가들이 자체 소버린 AI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기술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GIO는 AI 개발에 있어 안전성이 중요한 이유를 언급하고, 소수에 의한 AI 독점을 경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각 국가 정상, 국제기구, 주요 AI 기업 대표들과 함께 세션에 참가한 이 GIO는 “사용자들이 하나의 키워드로 다양한 검색 결과에서 정보를 선택하는 검색과 달리, 바로 답을 제시하는 AI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답을 얻는 방식”이라며 “이러한 AI의 특성은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AI 안전성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과거를 지배하는 자는 미래를 지배한다: 현재를 지배하는 자는 과거를 지배한다’는 소설 구절을 인용하며 “극소수 AI가 현재를 지배하게 되면 과거 역사, 문화에 대한 인식은 해당 AI의 답으로만 이뤄지게 되고, 결국 미래까지 해당 AI가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이런 관점에서 각 지역의 문화적, 환경적 맥락을 이해하는 다양한 AI 모델들이 많이 나와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는 21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다. 글로벌 국가 정상, 국제기구, 세계적인 AI 기술 기업의 대표 등이 참여해 AI의 안전성을 강화하면서도 혁신을 촉진하고 포용과 상생을 도모하는 발전방안에 대해 포괄적인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