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서울 정상회의’ 장관세션서 발제산업계 노력 소개, 정책 어젠다 제시
  • ▲ ⓒSK텔레콤
    ▲ ⓒSK텔레콤
    SK텔레콤은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유영상 대표가 지속가능한 혁신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유 대표는 장관세션에서 17개국 디지털부 장관들과 오픈AI, MS 등 빅테크 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외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발표 주요 내용으로는 AI로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사회적 가치와 한편으로는 사회적 문제가 공존하는 현시점에서 국제사회가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공조해야 함을 강조했다.

    유영상 대표는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관련 에너지 소비, 접근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의 노력을 소개했다. 유 대표는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막대한 전력과 비용이 소요된다”며 “한국은 기업과 정부가 협력해 전력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AI 칩 개발과 AI데이터센터(AIDC) 구축 등에 힘쓰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AI가 가져오는 한계성과 페이크 뉴스와 같은 부작용 극복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최근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생성형 AI 레드팀 챌린지’를 제시했다. 

    유 대표는 “이 행사는 한국 기업의 AI 모델에서 약점과 위험요소를 찾아내는 행사였는데, 지속가능성과 안전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발전’을 위해 ▲AI 접근성 확대 ▲새로운 일자리 창출 ▲데이터 편향성 최소화 위한 기술, 정책적 조치를 함께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혁신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유 대표는 “국제사회가 AI의 안전성에 대해 고민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창출할 수 있는 혁신성에 대해서도 균형 있는 고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AI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AI 혁신을 이뤄내는 균형 있는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