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장애 이달 3차례 발생, 명확한 원인 밝혀지지 않아불안정한 서비스 시스템 도마위… 2022년 '카톡 먹통' 사태 재현 우려카톡 오픈 채팅방 6만 5000건 개인정보 유출 논란도개인정보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카카오에 과징금 151억 부과카카오 "실시간 점검 및 장애 확산 방지 만전"… 과징금 불복, 법적 소송 예정
  • ▲ ⓒ카카오
    ▲ ⓒ카카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카톡)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잇따른 장애와 개인정보 유출이 불거지면서 혼란이 가중되는 형국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이달 들어 카톡 장애가 3차례나 발생하면서 불안정한 서비스 시스템이 도마 위에 올랐다. 

    앞서 지난 13일 내부 시스템 작업 중 오후 1시 44분부터 6분간 카톡 일부 이용자의 메시지 수발신, PC 로그인에서 불안정한 현상이 있었다. 이후 20일과 21일에도 해당 오류가 재차 발생하면서 이용자들의 불편이 가중됐다. 카카오 측은 '내부 시스템 작업 오류'라고 설명했지만,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카톡의 연속된 장애 발생으로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긴급 현장점검에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관련 분야 전문가와 함께 현장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장애원인과 복구상황, 재발방지 대책을 철저하게 확인 점검해 서비스 장애가 반복되지 않도록 미흡 사항은 사업자와 함께 시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다만, 불안정한 서비스가 2022년 10월 발생한 '카톡 먹통'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카카오는 지난 2022년 10월 SK㈜ C&C 데이터센터 내 전기실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3만 2000대에 달하는 카카오 서버가 멈춰 섰다. 이로 인해 카카오톡을 비롯해 포털·게임·택시·인증·송금·결제 등 주요 서비스 13개가 일제히 올스톱된 바 있다. 이후 나흘만인 19일이 돼서야 카카오 서비스 대부분이 정상화됐다.

    카톡은 보안 취약성으로 6만 5000건에 달하는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는 논란에도 휩싸였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가 개인정보보호 법규 위반으로 카카오에 과징금 151억 4196만원, 과태료 780만원을 부과하기로 의결했기 때문. 이는 국내 업체 중 역대 최대 과징금이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카톡 회원들이 익명으로 대화할 수 있는 '오픈 채팅방' 참여자의 임시 아이디(ID)를 암호화하지 않았다. 기존에 개설된 일부 오픈채팅방에선 임시 아이디의 뒷자리 정보로 회원일련번호를 쉽게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 해커가 오픈 채팅방에서 확보한 임시 ID와 회원일련번호를 알아낸 뒤, 이용자 정보를 결합해 개인정보 텔레그램 등에 판매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정 사이트의 경우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이용자 696명의 정보가 올라와 있으며, 해커가 최소 6만 5719건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것으로 확인했다는 게 개인정보위의 입장이다. 무엇보다 카카오가 지난해 3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이용자에게도 유출 사실을 알리지 않아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했다는 것.

    카톡을 둘러싼 잡음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카카오도 곤혹스러운 형국에 처했다. 우선 카톡 장애의 경우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실시간 점검 및 장애 확산에 최소화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데이터센터 장애가 발생할 때를 대비한 기술적 조치도 강화하고, 트래픽 발생 및 재해복구에 대응한 모의훈련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개인정보위의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과징금 부과에 대해서는 "억울하다"며 법적 대응 등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문제로 거론된 회원일련번호와 임시ID는 그 자체로 어떠한 개인정보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이것으로 개인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사업자가 생성한 서비스 일련번호를 암호화하지 않은 것은 법령 위반으로 볼 수 없다는 얘기다.

    카카오 관계자는 "2022년 데이터센터 화재 발생 이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데이터센터 다중화 등 복구 시스템을 구축한 상황"이라면서 "(개인정보위 과징금 부과 조치에 대해선) 행정소송을 포함한 다양한 법적 조치 및 대응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