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가계부채 점검회의' 개최…관리 방안 논의5월 은행 가계대출 잔액 1109.6조…전달대비 6조 증가"증가세 확대 가능성 커져…적기 대응 필요한 시점"
  • ▲ ⓒ연합뉴스 제공.
    ▲ ⓒ연합뉴스 제공.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최근 두 달만에 11조원 급증하면서 금융당국이 5대 시중은행을 소집해 가계부채 점검에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12일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5대 시중은행과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가계대출 현황과 향후 관리 방안, 하반기 가계부채 리스크 요인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4월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 확대는 주택거래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하반기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고 대환경쟁 압력 등에 따라 3% 후반대 대출금리가 유지되면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과 일반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성 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확대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09조6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원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 폭은 전달보다  1조원 확대된 것이다.

    참석자들은 4월 들어 가계부채가 증가세로 전환됐고 기준금리 인하 기대, 주택시장 회복양상 등에 따라 향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커진 만큼 긴장감을 갖고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적기에 대응해나가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권대영 사무처장은 “하반기에는 금융권과 함께 더욱 세심한 관리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가계부채를 일관되게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가계부채 전반에 ‘갚을 수 있는 만큼 빌리고 처음부터 나눠 갚는 대출관행’을 확립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정부의 정책적·제도적 노력과 더불어 금융권 스스로도 가계부채의 중요성에 대해 당국과 인식을 공유하면서, 차주의 상환능력을 감안한 대출이 일선 현장에서 취급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