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진료거부 탓 경영위기, 타 직역에 전가 금지5000명 집결해 올바른 의료개혁 집회 개최적정인력 기준 제도화·주4일제·공공의료 강화 요구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보건의료노조가 오는 18일로 예정된 의료계 전면 휴진과 병원별 무기한 수술 중단 결정을 비판하며 명분 없는 의사파업을 멈추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12일 보건의료노조는 조합원 5000명이 모여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시작해 서울역까지 이동하며 ▲적정인력 기준 제도화 ▲주4일제 ▲공공의료 강화 ▲올바른 의료개혁을 주요 요구로 내걸었다. 

    특히 의사 총파업에 따른 병원의 경영악화를 간호사 등 타 직역에 전가하는 양상으로 번지고 있음을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최희선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지금 의사들의 집단 사직과 휴진은 너무나 명분이 없다"며 "우리는 올바른 의료개혁을 요구하고 있는데도 의정 대립으로 발생한 경영 위기를 우리 노동자들에게 전가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보건의료 인력 기준 마련, 업무 범위 명확화, 공공병원 역량 강화, 증원된 의사를 지역, 필수의료에 우선 배치해달라"고 주장했다. 

    의정 갈등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어 환자 불편이 가중되기 때문에 의사들은 즉각 집단행동을 멈추고 현장을 지켜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국민건강보험공단 노동조합 역시 "의사단체들은 정부가 의료 정책을 추진할 때마다 집단 진료거부로 자신들의 이익을 챙겨왔다"면서 "전공의 집단 사직에 따른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한 건보재정 투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