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칭 금속-카르복실레이트 복합체 활용해 양자점 균일 제어
  • ▲ 최민재 화공생물공학과 교수.ⓒ동국대
    ▲ 최민재 화공생물공학과 교수.ⓒ동국대
    동국대학교는 화공생물공학과 최민재 교수 연구팀이 양자점 디스플레이의 한계로 지적됐던 청색 발광 양자점 합성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자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InP 양자점은 녹색과 적색에서는 높은 성능이 보고된 바 있으나 청색 발광이 어려운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동안 청색 발광을 구현하기 위해 InGaP 형태의 삼원계 양자점이 제안됐으나, 균일한 삼원계를 구성하기가 어려웠다.
  • ▲ 비대칭 금속-카르복실레이트를 통한 삼원계 양자점 합성.ⓒ동국대
    ▲ 비대칭 금속-카르복실레이트를 통한 삼원계 양자점 합성.ⓒ동국대
    최 교수와 유도헌 석사과정생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대칭 금속-카르복실레이트 복합체를 활용해 InGaP 양자점의 조성을 균일하게 제어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합성된 삼원계 양자점은 청색 대역에서 높은 양자효율 값을 보여 그 가능성을 입증했다.

    최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삼원계 InGaP 양자점 합성법은 새로운 청색 발광 소재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기존 InP 양자점 합성법과 같기 때문에 추후 다양한 산업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Asymmetric Metal–Carboxylate Complexes for Synthesis of InGaP Alloyed Quantum Dots with Blue Emission'라는 제목으로 나노소재 분야 세계적인 국제 학술지 ACS Nano 6월호에 실렸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과 우수신진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 ▲ 동국대학교 전경. 우측 하단은 윤재웅 총장.ⓒ동국대
    ▲ 동국대학교 전경. 우측 하단은 윤재웅 총장.ⓒ동국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