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촉박한 작업일정·불법하도급 개선해야"파업 장기화시 골조공사 등 공정 차질 불가피
  • 건설현장 타워크레인을 설치·해제하는 노동자들이 24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다. 파업이 예상보다 길어질 경우 다수 사업장에서 공기지연이나 공사중단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전국타워크레인설·해체노동조합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역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무기한 파업투쟁을 선언했다.

    과도하게 촉박한 설치·해체작업 일정과 불법하도급 문제를 시정해달라는 게 노조 측 요구사항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4월기준 대형크레인 설치·해체업체수는 88개로 노동자 352명이 근무하고 있다.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2013년부터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노동자 41명이 작업중 사망했다"며 "10여년간 8.6명중 1명꼴로 사망사고가 일어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외국에선 타워크레인 1대 설치에 일주일에서 때로는 열흘까지 걸린다고 한다"며 "하지만 우리는 1대 설치를 하루만에 끝내야 하는 노동환경에 처해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불법하도급 체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노조는 "건설기계관리법에 따르면 타워크레인 임대사는 장비임대만 하게 돼 있지만 실상은 원청으로부터 도급받은 금액 절반을 떼어먹고 책임은 노동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타워크레인 설치·해체는 원청과 당사자가 직접 계약해야 하고 정부는 업계 불법하도급 문제를 즉각 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각 건설현장에선 타워크레인 신규설치와 해체가 불가능해진다.

    건설사들은 공사중단 가능성은 낮게 보면서도 파업 장기화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파업으로 인해 공사가 멈추거나 공정에 차질이 생긴 곳은 아직 없다"면서도 "다만 파업이 길어지면 골조공사 등 일부공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어 담당팀이 현장과 소통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중견건설 B사 관계자는 "파업이 현실화하더라도 당장 공사가 중단되진 않을 것"이라며 "타워크레인 설치·해체가 중단되더라도 이동식크레인 등 대체수단을 활용하면 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다만 파업이 무기한 길어지면 얘기가 달라질 수 있다"며 "대체수단 사용에 소요되는 비용과 공기지연이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파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임금 인상'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대형건설 C사 관계자는 "노조는 이번 파업과 관련해 안전 위협으로 인한 정당한 쟁의라고 주장하지만 실상은 10% 임금인상, 공기단축에 따른 추가설치비 요구 등 임금 증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며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업체들의 영세함 등을 고려할 때 노조가 요구하는 직계약보다는 임대업체를 활용한 통합계약이 사고방지 등에 더 효과적이라고 볼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