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전에도 파업…이틀간 피해액 600억원 달해협상방식 두고 이견…"골조공사 중단 가능성"
  • ▲ 경기 안양시의 시멘트공장에 레미콘차량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 경기 안양시의 시멘트공장에 레미콘차량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 레미콘 운송기사들이 운송비 협상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업에 돌입해 공사현장 '셧다운'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한국노총 레미콘운송노동조합은 1일 성명을 내고 지난달 실시한 휴업 실시여부 찬반투표 결과에 따라 무기한 휴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노조는 성명에서 "수도권 사용자단체에 지난 4월 이후 수차례에 걸쳐 운송료 협상을 요구했지만 지난달말 계약종료일까지 협상을 회피했다"며 파업돌입 배경을 밝혔다.

    수도권 운송기사는 총 1만1000명 규모로 이중 8400여명이 한국노총 레미콘운송노조에 가입해있다.

    그동안 레미콘 운송노조와 레미콘 제조사들은 2년마다 권역별로 운송비 협상을 벌여왔다.

    2022년에도 레미콘운송노조는 운송료 합의 불발을 이유로 파업에 나섰다. 당시 양측이 2년간 운송료를 5만6000원에서 6만9700원으로 24.5% 인상하기로 합의하면서 파업은 이틀만에 종료됐다.

    파업기간은 이틀뿐이었지만 그로 인한 피해액은 600억원에 달했다.

    갈등 핵심은 협상방식이다. 노조는 권역별이 아닌 통합협상 방식으로 운송비를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조 관계자는 "2022년 7월 운송료 협상 당시 레미콘 발접협의회와 노조가 통합협상 방식으로 운송비를 결정하기로 했지만 현재 협의회가 이를 거부하고 '수도권 12개 권역별 협상'을 요구하고 있다"며 "업체들이 권역별로 협상하자는 것은 일부권역을 공략해 가격인상폭을 줄이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반면 제조사들은 레미콘 경우 제조후 90분내 배송해야 하기 때문에 권역별 협상이 불가피하다고 맞서고 있다.

    또한 레미콘 운송기사 경우 개인사업자로서 노동조합 지위가 인정되지 않아 통합협상이 아닌 권역별·개별 도급계약이 필요하다는 게 협의회 측 주장이다.

    건설업계에선 휴업 장기화로 인한 공사지연과 그에 따른 공사비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골조공사를 진행중인 현장은 레미콘 운송이 늦어질 경우 공사지연 및 중단으로 직결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수도권은 전체 레미콘 수요 40%이상을 차지해 휴업이 길어지면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며 "지난번 타워크레인 설치·해체노조 파업보다 더 직접적인 피해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중견건설 B사 관계자는 "당장 이번주부터 장마가 시작되는데 레미콘 파업까지 겹치면 공정이 늦어지는 것은 당연하다"며 "사업이 지연될수록 시공사가 '독박'을 쓸 가능성이 있어 적절한 보전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