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병원 내 비수도권 환자 비중 27% 진료비도 급증중증도 높은 환자 위주로 조정권역별 전문의뢰제 확장이 관건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빅5병원(서울대, 서울아산, 연세대 세브란스, 삼성서울, 서울성모병원)을 찾아 지방에서 상경하는 환자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진료비 상승세도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가 추진하는 전국 47곳의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이 해결책이 될지 주목된다. 
     
    27일 장종태 국회의원(대전 서구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빅5병원을 찾은 전체 환자 266만146명 중 비수도권 환자는 72만1930명으로 27.1%에 달했다. 

    특히 원정진료 환자의 증가폭이 도드라졌다. 2020년 59만3천577명이었던 것이 4년 사이 21.6% 늘었다. 수도권 환자 수의 증가율(11.9%)보다 2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진료비의 경우 더욱 격차가 컸다. 빅5 병원 전체 진료비에서 비수도권 환자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4.4%에서 2023년 35.8%로 커졌다. 

    4년 사이의 진료비 증가율도 수도권 환자진료비가 21.2% 증가하는 동안 비수도권 환자 진료비는 29.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평균 진료비로 살펴보면 빅5병원의 수도권 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는 약 217만7000원이었던 것에 반해 비수도권 환자의 1인당 평균 진료비는 약 326만1000원에 달했다, 

    수도권 환자에 비해 비수도권 환자의 진료비가 무려 49.8%나 높았기 때문이다. 

    비수도권 환자의 경우, 병원 진료비에 더해 장거리를 이동하기 위한 거액의 교통비를 지불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숙박비까지 지불해야 하므로 수도권 환자에 비해 병원 진료 과정에서 이중고, 삼중고를 겪고 있는 셈이다.

    ◆ 진료 줄이고 중증도 올린다 … 권역별 '전문의뢰제' 핵심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의 중증 진료 비중을 현행 50%에서 70%로 단계적으로 상향하기로 했다. 중증 비중이 낮았던 병원은 70%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상향 목표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 달성하면 정부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과도한 병상과 진료량을 줄이고 의료 질 개선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지역과 병상 수준에 따라 5%에서 15% 수준의 일반병상을 축소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줄여 권역 내 최종진료가 가능한 구조로의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것이 정부의 복안이다. 

    특히 상급종합병원이 진료협력병원과 연계해 시범사업에 참여하도록 하고 권역 내 진료협력을 강화할수록 지원의 수준을 확대한다.

    권역의 진료협력 병원 간 의사의 전문적 소견을 바탕으로 진료기록 등 환자 정보를 공유하면서 패스트트랙으로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문의뢰제'를 마련한다. 이 체계가 확장되면 지역 내에서 최종진료를 하는 구조로의 변화가 가능해진다. 

    또 전공의의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해선 전공의가 중등증 이하의 수술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기관 협력 수련 모델을 마련하고 점진적으로 적용해 나간다. 상급종합병원의 전공의 근로 의존도를 낮추고 수련생으로서의 전공의 지위를 확고히 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정부 관계자는 "암에 걸리면 서울 대형병원으로 향하는 구조가 아니라 지방 상급종합병원에서도 원활한 치료체계를 구축하자는 것이 구조전환의 핵심"이라며 "무의미했던 의료전달체계 확립을 위한 과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