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최대 정치행사 '양회' 4일 개막 … AI 등 첨단기술 지원방안양회서 美관세보복 나올지 주목 … "필요한 보복조치 취할 것"
  • ▲ 트럼프와 시진핑 ⓒ연합뉴스
    ▲ 트럼프와 시진핑 ⓒ연합뉴스
    중국이 오는 4일부터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 전국인민대표대회)' 주간에 돌입하며 5% 수준의 연간 성장률 목표치를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무역전쟁이 확전 기로에 놓인 상황에서 중국이 보복 조치를 내놓을지도 관심이 쏠린다. 

    4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양회는 통상 일주일가량 진행되는데 이 자리에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중국이 얼마나 돈을 투자할지가 공개된다.

    우선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는 5% 안팎으로 설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전체 목표 설정의 전제가 되는 중국 지방정부들의 목표치 평균이 5.3%인데 중국은 2035년까지 경제 규모를 2020년 대비 두 배로 늘리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를 실현하려면 올해도 5% 성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번 양회에선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기술 육성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메시지가 나올 거란 예측도 나온다. 중국은 작년 전인대 업무보고 당시 국가 차원의 AI 종합지원 강화책인 'AI+ 행동'을 제시했다. AI를 경제 전반과 과학, 공공서비스 및 의료, 교육,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해 발전을 촉진한다는 구상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직접 AI 분야를 챙기고 있다는 점도 이러한 전망에 힘을 싣는다. 시진핑은 지난달 17일 생성형 AI 기업 딥시크와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유니트리, 알리바바 등 테크 기업 수장들을 만나 격려한 바 있다. 블룸버그는 "(올해 양회) 주요 주제는 AI일 가능성이 높다. 정책 입안자들이 중국의 미래 발전에서 AI의 역할을 모색함에 따라 AI의 이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예측했다. 

    이에 따라 중국 연구·개발(R&D) 예산도 작년(약 721조3000억원)보다 늘어날 가능성도 커진다. 작년 R&D 지출액 증가율은 전년 대비 8.3%로 이전(2023년 8.4%, 2022년 10.1%)보다 낮아졌으나, 증가율이 다시 반등할 거란 예측이다.

    다만 올해 중국 경제는 트럼프 행정부라는 불확실성과 마주하고 있어 목표치 달성은 미지수다. 트럼프는 지난달 4일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오는 4일부터 또다시 10% 관세를 추가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트럼프가 대선 기간에 공언한 대(對)중국 관세 60%보다는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중국에 대한 관세 압박은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해 중국이 양회에서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를 내놓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앞서 중국은 미국이 예고한 10% 추가 관세가 발효됐던 2월4일 0시1분을 기해 즉각 보복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은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추가 관세를 매기고 원유·농기계와 대배기량 자동차 등에도 10% 관세를 부과했다. 또 텅스텐과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등 핵심 광물의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하고 미국 구글을 상대로 반독점법 위반 조사를 개시하기로 했다.

    다만 1차 추가 관세 부과 때 보복 관세로 즉각 대응에 나선 것과는 2차 관세 부과에 대해서는 엄포성 발언만 먼저 내놨다. 이를 두고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구체적 대응과 정책 기조 등을 비롯한 보복 조치는 양회에서 도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트럼프가 추가 관세를 발표한 당일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만일 미국이 고집대로 행동한다면 중국은 자국의 합법적 권익을 수호하기 위해 모든 필요한 보복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했다. 또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합법적 권리를 결연하게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도 지난달 14일 독일에서 열린 뮌헨안보회의(MSC)에 참석해 "미국이 중국을 억압하면 우리는 끝까지 맞설 수밖에 없다"며 "일방적인 겁박에 결연히 대응할 것"이라고 입장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