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대란 탓 국립대병원 경영 '빨간불'상급종합 구조전환에 노조 반발 거세 오는 31일 강원대병원도 파업 예고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서울대병원이 몸살을 앓고 있다. 의료대란을 직격탄을 맞아 상반기 적자 규모가 상당한 가운데 노조 파업까지 예고된 상태여서 국가중앙병원의 입지를 유지할 수 있을지 우려가 커진다.

    24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은 의정 갈등이 심화하자 지난 4월부터 비상경영체제로 돌입했다. 운영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마이너스 통장을 5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늘렸고 병원동 폐쇄와 함께 간호사 무급휴가 신청도 받았다. 

    긴축에 돌입했지만 적자 규모를 줄이기엔 역부족이었다. 의사 대비 전공의 비중이 높은 구조 속에서 정상적 진료를 수행하기 어려운 탓이다. 

    특히 국정감사를 통해 서울대병원 경영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아 17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서울대병원은 1627억9000만원의 적자가 났다. 

    빅5에 속한 타 대형병원의 경우도 적자가 발생했으나 서울아산병원 216억원, 세브란스병원 160억3000만원, 서울성모병원 130억9000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은 자료제출이 없었음을 고려해도 국립대병원인 서울대병원의 적자 규모에 못 미친다. 

    이러한 상황 속 분당서울대병원도 여파가 컸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분당서울대병원은 서울성모병원과 건강보험 청구 금액으로 비교하면 100억도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올 상반기엔 1000억 수준으로 격차가 벌어졌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병원들이 쌓아놓고 있는 '고유목적금'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비영리법인이 건물과 토지 매입, 의료기기 취득 등 시설 투자나 교육 등의 목적을 위해 적립하는 돈이다. 하지만 마땅한 해결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결국 올해 안에 의료대란을 봉합하지 않으면 국립대병원 중심으로 연쇄적 파국이 발생할 수밖에 없음이 드러난 셈이다. 

    ◆ 의료대란 상황 속 파업의 공포  

    최악을 상황에 치닫고 있지만 서울대병원 소속 노동자들은 이달 31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노조 측은 사측과의 교섭에서 요구한 공공병원 축소 저지와 의료대란 책임 전가 중단, 임금·근로조건 개선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파업을 선택했다. 

    노조는 "정부가 의료개혁을 추진하며 상급종합병원의 병상을 감축하기로 했는데 서울대병원은 15%를 줄여야 한다"며 "현재 전체 병상수 대비 공공병상은 9.7%밖에 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공병상을 더 줄이는 것은 공공의료를 망치는 행위"라고 반발했다.

    현재까지 서울대병원은 상급종합병원 구조개혁에 참여할지 확정되지 않았지만, 분당서울대병원의 경우는 참여로 가닥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공공병원 노동자들은 이번에야말로 필수인력 충원과 처우개선을 기대했다"며 "그러나 정부와 의사의 대결로 촉발된 전공의 집단행동과 의료대란으로 병원 노동자들은 임금·고용 불안에 떨고 있다"고 지적했다.

    내부 봉합이 중요한 시점이나 사측도 빨간불이 켜진 경영상황에서 조율점을 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노조가 파업을 개시하면 환자 불편을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강원대병원 노조 역시 31일부로 파업을 예고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노원을지대병원의 경우는 지난 10일부터 홀로 파업을 진행 중이나 교섭 타결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