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온라인 소비확대와 고용 보고서' 발표온라인소비 1%p 오르면, 상품물가 상승률 0.07%p 감소숙박음식업·도소매업 고용 줄고 창고업은 늘어
-
온라인 소비 비중이 커지면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한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이 나왔다.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은 29일 이같은 내용의 KDI 현안 분석을 발표했다.분석 결과 온라인 소비가 1%포인트(p) 증가하면 상품 물가 상승률은 0.07%p 감소했다. 반면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 고용은 각각 2만3000명, 1만9000명 줄어드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운수창고업에서는 8000명 취업자가 늘어났다. 이를 합하면 3만4000명 취업자가 줄어들게 된다.온라인 쇼핑이 확대되면 오프라인에서의 구매 활동과 외식 소비의 감소로 이어져 관련 종사자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특히 숙박·음식점업은 자영업자 비중이 커 노동시장을 아예 떠나는 비율이 높을 수 있는 점과 폐업 후 재창업이 임금근로자의 퇴직 후 재취직보다 오래 걸리는 점 등으로 파급효과가 도소매업보다 컸다.지난 2017년부터 2024년까지 온라인 소비비중은 14%에서 27%로 상승했는데 8년간 소비자물가를 2.4% 낮췄다. 소비자물가에서 상품이 약 44.8%를 차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같은 기간 1.1%가량 낮추는 효과를 냈다.반대로 온라인소비 확대는 고용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영향도 낳는다. 김지연 총괄은 온라인 소비와 밀접한 3개 업종인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운수⋅창고업의 취업자 수를 고용변수로 사용해 분석했다.김지연 총괄은 "전자상거래 기술 발전과 온라인 소비 확대로 인한 경쟁 촉진의 결과 발생하고 있는 물가안정 효과가 관련 산업의 독과점화로 저해되지 않도록 시장 여건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며 "반면 노동시장에서는 고용 간, 업종 간 고용 조정을 촉발하고 있어 이에 대응한 경제·사회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전통적인 도·소매업 종사자들의 온라인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사양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재교육을 강화해 원활한 업종 전환을 도와야 한다"고 제언했다.아울러 "택배·물류 부문의 성장과 함께 특수고용직 등 기존의 취업 형태와 성격이 다른 근로자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해 보다 실효성 있는 사회안전망 구축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