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중심으로 SAF 혼합 비중 확대 추세SAF, 탄소절감 효과 있지만 항공유 가격 3배장기적으로 재정·제도 마련 목소리 커져
  • ▲ 대한항공 항공기에 급유되는 GS칼텍스의 지속가능항공유(SAF) ⓒ대한항공
    ▲ 대한항공 항공기에 급유되는 GS칼텍스의 지속가능항공유(SAF) ⓒ대한항공
    국내 항공사들이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해 지속가능항공유(SAF) 도입에 나섰다. 향후 유럽을 중심으로 탈탄소에 요구가 커질 것으로 예상돼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LCC(저비용항공사)에는 경영 부담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항공기를 운항할 때 배출되는 탄소의 양은 전체 탄소 배출량의 3% 정도를 차지한다. 전체 탄소 배출량에 비하면 작은 것처럼 보이지만 항공기는 교통수단 중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

    이에 따라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2050 넷제로(탄소중립)'를 선언하며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탄소 줄이기에 나섰다. 올해 1월부터 역내에서 출발하는 모든 항공기에 최소 2%의 SAF 혼합을 의무화하는 ‘리퓨얼(Refuel)EU’ 정책을 발표했다.

    EU는 SAF의 혼합 비중을 점차 늘려 2050년 70%로 확대할 방침이며 세계 최대 항공유 수입국 미국도 2050년까지 항공유를 100% 대체하겠다고 밝혔다.

    SAF는 폐식용유나 동물성 지방, 옥수수 같은 바이오원료를 활용해 만든 항공유다. 화석연료 기반인 일반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어 탄소제로를 달성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항공유에 비해 값이 3배 이상 비싸고 SAF 수요가 크게 늘면서 원재료인 바이오원료의 수급이 어려워 단가도 점점 높아지는 것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한항공이 파리를 출발해 인천으로 오는 상용 노선에 최초로 SAF를 급유했다. 최근에는 국산 SAF를 인천~일본 하네다 노선에 도입하는 등 정부, 정유사, 공항 등과의 협력을 강화해 가고 있다

    LCC 중에서는 티웨이항공이 작년 8월 인천∼파리 노선을 시작으로 인천~구마모토 노선에 SAF 상용화를 추진했다. 티웨이는 작년 유럽 노선에 신규 취항하며 로마, 바르셀로나, 프랑크푸르트 노선에도 2% 의무 급유를 하고 있다.

    이어 진에어는 지난해 11월 인천∼기타큐슈 노선에, 지난달 이스타항공, 제주항공이 각각 인천∼간사이, 인천∼후쿠오카 노선에 SAF 혼합유를 주유하며 LCC에도 SAF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2027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에 SAF 1% 혼합 급유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일본이 2030년까지 항공유의 10%를 SAF로 대체할 계획으로 알려지며 일본 노선이 전체 노선의 30%를 차지하는 LCC는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항공사 매출원가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유류비 가중으로 원가경쟁력이 핵심인 LCC 경영에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더군다나 글로벌 항공사들이 SAF 도입 이외에도 친환경 항공기 도입이나 연료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항공기 경량화도 추진하고 있어 이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우리금융연구소에 따르면 EU발 항공편 SAF 의무화에 따른 추가 비용으로 항공사의 영업이익률 하락 폭이 2050년 0.3%, 의무 사용이 70%로 확대되는 2050년에는 10%까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글로벌 항공업계는 늘어난 경영 부담을 티켓 요금으로 상쇄하기 위해 운임 인상에 나섰다. 대표적으로 독일 루프트한자 그룹은 EU 회원국 및 영국, 노르웨이, 스위스에서 출발하는 모든 항공편에 최대 72 유로(약 10만8000원)의 요금을 추가로 부과했다.

    이휘영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경영학과 교수는 "아직은 SAF 혼합 비중이 매우 적은 수준이지만 비중이 점진적으로 늘면 항공사의 경영에 부담이 가중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역량을 갖춰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정부도 항공사·정유사·공항공사 등과 'SAF 상용운항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국내 SAF 사용확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한다. 이번 협약에는 대한항공, 아시아나,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등 9개 항공사가 참여했다.

    향후 항공사의 탄소절감비용이 승객 운임으로 전가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제항공 운수권 배분 방식 개선, 탑승객 ‘항공탄소마일리지 제도’ 도입, ‘공항시설 사용료 인하’ 등을 순차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은 “정부는 국제항공 탄소중립과 해외SAF 의무화에 대비해 국적항공사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제도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