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리비에 제이 블랑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MIT대 교수는 아시아의 경기 회복세가 예상보다 빨라 한국의 성장률을 기존보다 1% 정도 상향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랑샤 교수는 2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세계은행 개발경제회의(ABCDE) 기조 연설에서 "아시아의 경우 최신 성장률 전망 데이터를 완료하지는 않았지만 지난 4월 전망치보다는 상당 부분 상향 조정할 것"이라면서 "중국, 인도는 그대로 유지하겠지만 한국을 포함한 주요 아시아국가는 1%씩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IMF는 지난 4월 세계경제 전망을 통해 한국의 경우 올해 성장률이 -4.0%, 내년 1.4%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향후 IMF는 한국의 성장률을 올해 -3.0%, 내년 2.4%로 올릴 가능성이 커졌다.

    블랑샤 교수는 현재 IMF 경제자문위원 및 수석 이코노미스, 미국 학술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거시 경제학 교과서로 알려진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의 저자이기도 하다.

    그는 "신흥국가의 경우 6개월 전보다는 훨씬 좋은 상태에 있다"면서 "자본 유출이 되면 다시 돌아오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아예 돌아오지 않을 걸로 생각했는데 기우에 불과했다"면서 "특히 수출도 회복되고 있어 아시아의 회복세가 예상보다 빠르다"고 말했다.

    블량샤 교수는 한국과 같은 신흥경제국이 이번 경제 위기에 타격을 받은 데는 개방 경제와 자본 시장 개방의 영향이 컸으며 위기 이후에 아시아 국가의 회복세가 빠른 반면 신흥 유럽국은 부진해 탈동조화 현상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위기에서 경제가 개방된 국가는 타격이 컸으며 금융시장의 개방 정도에 따라 많이 열린 국가의 피해가 컸다"면서 "아울러 경상수지 적자로 시작한 국가의 경우 이번 사태에서 상대적으로 더 힘들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한국처럼 하이테크가 발전한 국가의 경우 글로벌 경제위기로 수출 길이 막히면서 타격을 받았다"면서 "최근 미국 시장에서 전자제품 수입이 다시 늘고 있지만 이는 다시 재고를 쌓는 과정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블량샤 교수는 "아시아의 경우도 회복세가 빠르긴 하지만 중국이 나머지 아시아 국가의 경제를 이끌 수 있지는 않기 때문에 다른 대륙과 경기가 탈동조화된다는데는 '노'라고 답하고 싶다"면서 "외환 보유액의 경우도 위기 대비를 위해 해당국가가 많이 쌓는게 좋기는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볼 때는 낭비"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