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가 지난해 자사사이트에서 이뤄졌던 230여만 건의 입사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장 입사지원이 많았던 직종 1위는 ‘경영·인사·총무·사무’(22.5%), 2위는 ‘영업·판매·매장관리’(13.4%), 3위는 ‘재무·회계·경리’(10.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생산·정비·기능·노무’(10.3%), ‘유통·무역·물류·운수’(7.5%), ‘인터넷·IT·정보통신’(6.7%), ‘전자·기계·기술·공학’(5.4%), ‘서비스’(4.6%), ‘마케팅·광고·홍보’(4.3%), ‘건설·건축’(3.8%) 등이 뒤따랐다.
     
    연령대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20대~50대까지는 ‘경영·인사·총무·사무’에 이어 ‘영업·판매·매장관리’ 직무에 입사지원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60대 이상부터는 ‘재무·회계·경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재무·회계·경리’가 상대적으로 체력과 활동력이 필요한 영업 관련 직종보다는 주로 사무실 내에서 할 수 있는 직종인 까닭으로 풀이된다.

    지난 2006년부터 입사지원현황과 비교했을 때 ‘경영·인사·총무·사무’의 인기는 여전했으나 2, 3위 순위에는 변화가 따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의 경우, ‘영업·판매·매장관리’가 2위였는데, 2006년만 해도 ‘재무·회계·경리’ 직무가 두번째로 입사지원이 많았다.

    또 2006년의 경우 ‘경영·인사·총무·사무’(21.6%)에 이어 ‘재무·회계·경리’(14.9%) ‘영업·판매·매장관리’(9.4%)의 순이었다.
     
    4, 5위 역시 지난해엔 ‘생산·정비·기능·노무’(10.3%), ‘유통·무역·물류·운수’(7.5%)가 차지했는데, 2006년엔 두 순위가 바뀌어 있다. 유통·무역·물류·운수(8.0%)가 ‘생산·정비·기능·노무’(6.5%)보다 입사지원이 많았다.
     
    크지 않지만 이런 순위변화는 두 해 간의 입사지원수 비율 변화를 봐도 뚜렷이 드러난다. ‘영업·판매·매장관리’의 경우 2006년 9.4%에서 지난해 13.4%로 4.0%p 증가했다. ‘생산·정비·기능·노무’도 2006년 6.5%에서 2009년 10.3%로 그 비중을 늘였다. 수치로는 3.8%p 증가한 것이다.
     
    반면 ‘재무·회계·경리’는 2006년 14.9%에서 지난해 10.6%로 4.3%p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광고·홍보’도 감소폭이 크진 않았지만 5.4%에서 4.3%로 -1.1%p 줄었다.
     
    즉 구직자들의 선호도가 영업 관련 직무는 높은 반면 재무회계 직무는 낮아지고 있는 셈이다.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기업 간 경쟁이 격렬해 지면서 현장일선에서 직접 수익을 발생시키는 영업직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처우나 조직 내 위상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최근 인크루트의 조사에 따르면 기업 내에서 이른바 ‘잘 나가는’ 실세 직원으로 영업팀 팀장(18.8%)이 제일 많이 꼽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