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활성책, 기준금리 인하 … 가계부채 악영향
  •   

    한국의 가계부채가 주요 선진국들과 달리 매년 8% 이상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한, 금융위기 이후 회원국 가계부채(비영리법인 포함) 증가율은 연평균 8.7%다.

    한국은행이 집계하는 가계부채에서도 지난 2008년 말 723조5000억원 수준이었던 가계부채 잔액은 지난해 말 1021조4000억원까지 늘었다. 이는 매년 평균 8.2%씩 증가해온 수치다.

    반면 주요 선진국들은 가계부채 증가율이 낮아지거나 감소했다.

    같은 기준 미국 가계부채는 13조8000억달러에서 13조3000억달러로 줄었다. 매년 평균 0.7% 줄어든 수치다.

    일본 역시 325조4000억엔에서 311조1000억원엔까지 감소하며, 1.1%의 감소세를 보였다.

    독일은 1조5000억유로에서 1조6000억유로로, 영국은 1조4000억파운드에서 1조5000억파운드로 늘었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0.5%에 불과하다.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정책과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 우려가 실제로 일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담보인정비율(LTV) 및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완화하던 당시 정부는 이로 인해 가계부채가 우려할 만큼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14일 기준금리 인하 결정 당시 한국은행은 현 단계의 가계부채는 금융안정측면에서 크게 우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가계부채의 핵심인 주택담보대출은 8월 한 달 만에 은행권에서 1.3%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