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단기적으로는 체감하기 어려우나, 장기적으로는 사업 다각화 등으로 수익 창출효과 있을 것"
  • ▲ 서명식 마치고 악수하는 한-중 정상 2014.11.10ⓒ연합뉴스DB
    ▲ 서명식 마치고 악수하는 한-중 정상 2014.11.10ⓒ연합뉴스DB

     

    10일 한중 FTA가 타결됨에 따라 그간 골칫거리였던 대(對)중국 보건의료산업 무역 적자가 해소될 것인가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실제로 작년 한 해 동안 중국과의 총 교역은 628억 달러로 흑자였지만, 보건의료산업에서는 6.3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對중국 의약품 수출 3.7억달러, 수입 12.5억달러로 수출 대비 수입이 3배에 달했다. 의료기기 역시 對중국 수출 3.6억달러, 수입 3.9억달러로 적자였다.

     

    중국發 의약품 수입 규모가 큰 주된 요인으로 의약품 원료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꼽혔다. 따라서 그 동안 제약업계는 생산비 절감을 위해 중국에 높은 수준의 개방을 원해왔지만 중국은 이에 미온적인 입장만 내비쳐왔다.

     

    이런 가운데 한중FTA가 타결돼 제약업계에 장밋빛 전망이 있을 것이라 예측했으나, 제약업계는 이에 미지근한 반응을 보냈다.

     

    원활한 수급과 의약품 생산 비용 절감 등에 따른 대량 생산효과는 중국 현지에 법인을 둔 제약사나 원료수입에 의존이 큰 제약사만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팽배했다.

     

    이어 제약업계는 "단기적으로 봤을 때 체감할 수 있을 만큼의 성장 가능성은 느껴지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사업의 다각화 등을 꾀함으로써 수익을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또 "내수시장 의존도가 높은 제약사의 경우, 기업의 급작스러운 도산과 같은 큰 타격은 입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경영상에 이익보다는 불이익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도 전했다.

     

    하지만 중국에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기 위해 품목별로 중국 식품의약청(CFDA)의 위생 허가를 받아야 했던 그간의 절차가 한중 FTA로 절차의 간소화가 가능해져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제약업계에 청신호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도 적잖았다.

     

    실제로 한국에서 인정한 중국 내 시험검사기관은 27개소에 달하지만, 중국은 한국 시험성적서를 불인정한 탓에 절차 상 불균형이 심각했다. 따라서 이번 한중FTA를 통해 의약품 허가 절차를 완화해 수출 기회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한다.

     

    한편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원료를 저렴하게 수입하고 대량생산을 통해 중국 시장 진출이 늘어날 것"이라며 "중국은 아직 부족한 약물이 많고 제네릭 개발조차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기업에 큰 기회"라고 내다봤다.